소개글
"4차 산업혁명이 도래한 후, 목격할 수 있는 미래 교육 형태 (학술계획서와 서론 본론 결론 형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학술 계획서
1) 제목
2) 주제와 목표
3) 대상과 방법론
4) 결과와 제언
2. 본문
1) 서론
2) 본론
3) 결론
본문내용
제목
4차 산업혁명이 도래한 후, 목격할 수 있는 미래 교육 형태
-사교육의 변화와 공교육의 한계 보충을 중점으로-
주제와 목표
4차 산업혁명 이후, 과거 우리 사회에서 원했었던 고착된 인재 양상과 현재 사회에서 원하는 인재상은 확연히 달라졌다. 하물며 학령인구의 감소로 이젠 다수의 학생들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아닌 개개인에 맞춰 수업하는 방식이 생겨날 것으로 예상되었다. 필자는 이러한 변화에 맞게 교수자 중심의 주입식 교육을 하던 사교육도 유연하게 달라질 것을 예상하였다. 이제 사교육 시장은 국, 수, 영, 탐 중심의 교육이 아닌 학생들의 창의성과 개성을 표출하도록 도울 수 있는 교육방식으로 나아갈 것이다. 따라서, 필자는 선행연구와 자료들을 참고하여 이를 더 구체적으로 연구하고자 하려고 한다. 이 학술적 에세이의 목표는 사교육의 미래 교육 방안을 예측해 보는 것이다, 더 나아가, 앞서 말했듯이 교육시장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사교육보다 비탄력적인 공교육의 한계를 정리해보고 이에 대한 해결책을 제언하려 한다.
대상과 방법론
대한민국 사교육과 공교육을 동시에 경험하고 있는 학생들, 교사와 강사들, 그리고 앞으로 대한민국의 교육에 관심을 가질 사람들을 논의 대상으로 삼았다.
미래 교육은 어떻게 변화할지에 대한 자료들을 수집하였고, 현재 사교육과 공교육의 형태에 대한 자료도 참고하였다. 그런 참고자료들을 바탕으로 미래 사교육 시장이 어떻게 대응할지에 대해 예측해 보았다. 또한, 지금 공교육의 한계를 생각해보고 미래 공교육은 어떻게 변화하면 좋을지에 대한 발안도 생각해보는 계기를 가졌다.
< 중 략 >
대한민국의 사교육은 이데아다. 이는 대한민국의 교육을 경험한 국민이라면 절대적으로 공감할 이야기이다. 2020년 현재, 코로나 19 사태로 인해 공교육의 한계가 명확히 드러났고, 반면 사교육 시장은 더욱 주목받고 있다. 그렇다면 과연 사교육의 중점도 여전히 국, 수, 영, 탐일까? 여전히 다수의 학생이 칠판을 바라보는 주입식 교육을 받고 있을까?
참고 자료
임상훈, 조미헌, (2016), 미래교육을 대비한 정보관련 정책들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0(2), 121-130.
김승환, (2016), 지능정보사회에 대비한 교육의 미래, 한국교원교육학회 제70차 연차학술대회, 1-12.
최지웅, (2017), 4차 산업혁명이 다가온 미래 사회의 수학교육 동향 고찰. 교과교육연구, 10(1), 59-72.
여영기, 엄문영. (2015), 사교육 진화의 양상과 원인을 통해 본 공교육 정상화의 방향. 교육종합연구, 13(4), 157-183.
신경환, (2019), 자본주의에 대한 사회적인 인식 변화에 따른 사회경제 시스템에 대한 교육방식 변화 연구, 상업교육연구, 33(2), 1-16.
이희영, 이경화, (2019), 미래교육환경과 K-MOOC의 교육적 활용방안 탐색, 평생교육ㆍHRD연구, 15(2), 107-123.
양관목. (2020), 교육혁신을 통한 미래교육 학습공간, 교육시설, 27(1), 6-6.
박인우, (2013). 교육을 위한 미래 시설 구축 방안. 교육시설, 20(5), 16-20.
임진혁, (2018), 4차 산업혁명과 미래교육.,대한산업공학회 춘계공동학술대회 논문집, 1872-1872.
한 세대 후 대한민국 집필팀. (2019). 한 세대 후 교육 : 공교육과 사교육, Future Horizon 40권 0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40-45.
김숙, 황우형, (2005). 공교육과 사교육에서 교수자의 교수방법 분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8(2), 273-2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