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I. 본론
1. 대기오염 사례 (스웨덴 대기오염과 건강에 관한 최근 연구)
2. 대기오염 사례 (우리나라 대기오염)
3. 우리나라 대기오염을 줄이기 위한 노력
4. 대기오염에서의 간호사의 역할과 전문분야 간 협력사례
5. 대기오염으로 인한 건강문제를 예방하기위한 개선점
III. 결론
본문내용
한 기사에서 WHO는 ‘2019년 세계 건강 10대 위협’이라는 보고서에서 대기오염과 기후변화를 건강을 위협하는 10대 요인 중 하나로 꼽았고 대기오염은 가장 큰 위협이라고 밝힌 사실을 찾아 볼 수 있다. 세계보건기구 산하 국제암연구소는 미세먼지를 1군 발암물질로 분류했다. WHO에 따르면 세계 인구 10명 중 9명이 매일 오염된 공기를 마시고 있으며, 대기오염으로 인한 질병으로 매년 700만 명이 사망하고 있다. 대기 중 미세 오염 물질(눈에 보이지 않는 중금속, 각종 화학물질)은 인간의 호흡기와 순환계에 침투해 폐, 심장, 뇌에 손상시켜 암, 뇌중풍, 심장병 등을 일으켜 최악의 경우 목숨까지 잃을 수 있다고 보도 했다.
참고자료
· 조용환(2020.April 9). medical observer, Retrieved 18 April, 2020, from http://www.monews.co.kr
· 송인하(2020.April 13). medical observer, Retrieved 18 April, 2020, from http://www.monews.co.kr/image/logo/toplogo_20181129034446.gif
· 이용준(2020. April 13). 이뉴스투데이, Retrieved 18 April, 2020, from http://www.enewstoday.co.kr
· 엄태선(2018. November 7). korea pharmaceutical association news, Retrieved 18 April, from https://www.kpanews.co.kr
· 서현우(2020. April 13). 월간산 606호. Retrieved 18 April, 2020, from http://san.chosun.com
· 백도명, “Health Effects Due to Air Pollution” 한국산업간호협회지 v.8 no.2 = no.28 (2001)10 - 18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