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미리보기
소개
"바이러스성 뇌염 case study 성인간호학실습"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Ⅰ. 연구의 필요성
Ⅱ. 문헌고찰
2. 본론
Ⅰ. 간호력
Ⅱ. 진단검사
Ⅲ. 투약약물
Ⅳ. 간호과정
3. 결론
Ⅰ. 느낀 점(실습소감)
Ⅱ.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연구의 필요성❯
이번 실습을 하게 된 동산병원 85w병동에는 신경과/성형외과의 환자들이 주로 계셨고 그 중에서도 신경과 환자분들이 많이 계신 병동 이였다. 신경과 환자분들의 대부분은 뇌경색 환자분들이 많았고 그 외에도 뇌수막염, 뇌졸중, 뇌염 등의 진단을 받으신 환자분들이 있었는데 그 중에서도 바이러스성 뇌염이라는 진단을 가진 환자는 드물었고 좀 더 접하기 힘든 질병을 가진 대상자로 케이스 선정을 하고 싶었기에 바이러스성 뇌염 환자를 대상자로 선택하게 되었다.
❮문헌고찰❯
정의
뇌염이란 뇌 실질의 염증성 질환을 의미한다. 뇌수막염과 뇌염이 함께 있는 경우는 수막뇌염이라고 하게 된다. 뇌염은 원인에 따라, 질환의 시간적 경과에 따라 구분한다.
바이러스성 뇌염은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해 뇌에 염증이 생기는 보기 드문 염증성 질환이다. 흔히 뇌와 척수를 싸고 있는 뇌수막에도 염증이 생긴다. 증상이 경미하여 거의 알아채지 못하는 경우도 있는 반면 때로는 위중하여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
<중 략>
주호소 : 없음(환자 의사소통 불가)
입원동기 : 2014년도에 군입대하여 아무문제 없었고 2014년 12월경 간헐적으로 마른기침을 하였음. 12/13일 머리에 두통과 fever가 동반되어 부대 의무실을 찾았으나 증상이 잘 호전되지 않았다. 하지만 의식이 처지거나 이상한 말을 하는 증상은 없었고
이후에도 두통, fever 지속되어 해군병원에 치료를 받았는데 증상이 호전되나 싶었으나 12월 20일 다시 두통이 생기고 체온은 38.7까지 올라갔다. 12월 21일 confusion 발생하여 사람을 알아보지 못하고 질문에도 엉뚱한 대답만을 하여 LMC로 전원하였다. 후에 경북대학교병원으로 전원되었고, conservative manegement 하려고 했으나 보호자가 본원에서 진료하길 원해 2015 1/5 본원 ER통해 ICU에 입원하였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