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대를 만들 때 무대감독은 수많은 어려움과 위기에 당면한다. 때문에 무대감독은 때로는 위기를 기회로 바꾸고 실수를 예술로 바꿔버리는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하나의 공연을 올리는 데에는 공연이 결성되고 마무리되기까지 몇 달, 혹은 몇 년이라는 긴 시간이 필요하다. 우리는 이를 프로덕션(production) 과정이라 부르고 크게 프리 프로덕션(pre-production), 프로덕션(production), 포스트 프로덕션(post production)의 3가지 과정으로 나누어 구분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배우, 스텝, 무대감독 모두가 완벽한 무대를 만들기 위하여 노력한다. 위 레포트에서는 이 과정에서 마다 무대감독이 수행하는 업무가 어떤 것인지에 대하여 기술하려 한다.
1. 프리 프로덕션(pre-production)
프리 프로덕션 기간은 오디션부터 연습에 이르기 전까지의 기간이다. 공연을 올리기 위하여 연습을 하기 전 그 공연에 대한 지식과 필요한 것들을 세밀하게 조사하는 것이 성공적인 무대를 만들기 위한 첫걸음이기 때문에 무대감독은 이를 이해하고 대비해야 한다. 프리 프로덕션 기간에 무대감독의 업무는 크게 작품에 대한 부분과 제작과 스텝에 대한 부분, 배우와 오디션에 대한 부분, 예산에 대한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우선 작품에 대한 부분을 설명하려 한다. 공연하려는 작품을 선정한 뒤 그 작품에 대한 이해와 분석을 한다. 무대감독에게 이 작품이 처음 하는 공연일 수도, 전에 해봤던 공연일 수도 있지만 무대감독은 작품을 처음 공연에 올리는 것처럼 개인의 선입견을 집어넣지 않고 대해야 한다. 작품을 읽으며 내용뿐만 아니라 인물, 극의 시대 배경의 고증을 위한 참고 자료, 관습 등에 대해서도 생각해보아야 한다. 이때 작품 자체에 대한 내용과 함께 대본을 읽으며 우선 스텝 회의에서 제시될 수 있는 사항에 대하여 메모해놔야 한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