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진단 및 검사
(1) 부검 또는 생검
(2) 병력과 신경학적 진찰
(3) DSM-IV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 NINCDS-ADRDA (National Institute of Neurological. Communicative Disease and Stroke and the. Alzheimer's disease and Related Disorders )
(5) 진단 의학적 검사
(6) 뇌 영상검사
(7) 신경심리검사
6) 치료
(1) 인지기능장애에 대한 약물치료
(2) 정신행동증상에 따른 치료약물
(3) 기타
7) 간호
본문내용
1)정의
알츠하이머형 치매는 1907년 Alois Alzheimer에 의해 기술된 점진적이고 비가역적인 인지기능의 저하를 수반하는 피질성 치매의 대표적인 유형이며 어느 특정 단일 원인에 의한 질환이라기보다는 진행성의 신경계 노화 현상에 유전적 위험 요소와 환경적 위험 인자가 더하여진 복합 발병 기전에 의한 증후군(Alzheimer syndrome)이라 할 수 있으며 중추신경계의 신경변성이 서서히 진행하여 광범위한 부분의 인지기능에 장애가 일어나는 질환으로서 치매환자 중 약 60%를 차지하고 있다.
2) 원인
정확한 발병 기전과 원인에 대해서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는 않다.
(1) 베타 아밀로이드설
뇌에서 자연적으로 생성되는 단백질인 베타아밀로이드가 치매환자에게서 배출되지 않고 비정상적으로 쌓이면서 프라그를 형성하고 그 독성으로 뇌신경세포에 영향을 준다는 설이며 신경반(혹은 노인반)과 관련된다.
(2) 타우 단백질설
뇌 세포의 골격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타우 단백질(tau protein)의 과인산화, 염증반응, 산화적 손상 등도 뇌 세포 손상에 기여하여 발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이며 신경섬유다발은 타우 단백질 과인산화와 연관이 있다.
(3) 가족력, 유전적 요인
전체 알츠하이머 발병의 40~50%를 차지하며 대표적인 위험 유전자로 아포지단백 E ε4(APOE ε4) 유전자형이 있다.
(4) 기타
65세 이상의 고령이 가장 큰 위험 요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 외 심장질환, 생활습관. 낮은 학력, 우울증 병력이나 두부 손상의 과거력 등이 있다.
3) 단계별 증상
(1) 1단계 - 무손상 : 정상기능
(2) 2단계 - 매우 가벼운 인지력 감퇴 : 나이 관련 정상적인 변화 또는 알츠하이머병의 가장 초기 징후일 수 있음
본인이 익숙한 단어나 이름 또는 열쇠, 안경 또는 기타 일상 물건의 위치를 잊어버리는 등 기억력에 문제가 있다고 느낄 수 있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