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정치 문제점 극복에 대한 새로운 시각(정치와 인간)
- 최초 등록일
- 2020.09.29
- 최종 저작일
- 2016.10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정치와 정치를 둘러싼 개념에 대한 한나 아렌트의 시각은 다르다. 한나 아렌트는 권력과 권위를 폭력과 지배의 동일 선상에 두지 않는다. 그녀는 ‘권력’과 ‘권위’의 개념을 중심으로 근대의 지배 주의적 정치관과는 다른 논의를 제시한다. 이렇듯 우리는 기존의 근대 정치철학과 한나 아렌트의 정치 철학을 비교하여 현대 정치에서의 극복 방향을 찾고자 한다.
목차
Ⅰ.서론
Ⅱ.본론
Ⅱ-Ⅰ. 정치에서의 권력
Ⅱ-Ⅱ. 정치에서의 권위
Ⅱ-Ⅲ. 권위와 권력
Ⅲ.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근대는 인간을 타자와 구별된 단독자, 나누어질 수 없는 개체로 이해한 데서 시작된다. 근대는 인간을 주체 중심으로 보고 객체를 정하여 이원론적 세계관을 설정한다. 그러나 이러한 근대중심주의는 객체의 소외와 억압, 지배 등의 수많은 역기능을 초래해 왔다는 문제점이 있다. 정치 역시 이러한 근대적 관점에서 해석이 되어왔다. 즉, 근대 정치철학에서 정치는 지배의 지속적인 관계이고 지배관계의 근본적인 구조는 지배자와 피지배자 혹은 명령자와 복종자의 대립적 관계인 것이다. 그러므로 정치철학을 이야기할 때, 빼놓을 수 없는 ‘권력’과 ‘권위’ 따위의 개념은 지배와 억압, 폭력의 개념들과 구분의 경계선이 모호하다. 예를 들어, 근대의 정치철학에서는 권위와 지배를 구분 짓는 것이 아니라 권위를 지배와 같이 보면서, 지배의 정당성을 끌어낸다는 것이다.
그러나 정치와 정치를 둘러싼 개념에 대한 한나 아렌트의 시각은 다르다. 한나 아렌트는 권력과 권위를 폭력과 지배의 동일 선상에 두지 않는다. 그녀는 ‘권력’과 ‘권위’의 개념을 중심으로 근대의 지배 주의적 정치관과는 다른 논의를 제시한다. 이렇듯 우리는 기존의 근대 정치철학과 한나 아렌트의 정치 철학을 비교하여 현대 정치에서의 극복 방향을 찾고자 한다.
Ⅱ. 본론
Ⅱ-Ⅰ 정치에서의 권력
정치를 이야기할 때, ‘정치는 무엇인가’라는 물음은 끝없는 정치적 논쟁을 낳고 있지만, 권력이 정치의 결정적인 요소이며, 정치에 관한 관념은 곧 권력에 대한 관념이라는 데는 쉽게 의견을 일치를 본다.
서구 정치 철학에서는 정치의 결정요소인 ‘권력’을 두고, 이를 행사하는 것이 ‘지배’라고 규정한다. 즉, 정치를 지배적 관계로 간주하는 것이다. 근대 서구 정치 철학의 토대를 마련한 고대 철학자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경우, 누군가가 다른 누군가를 지배하는 것은 당연하며 이는 실제로 인간의 삶에 매우 유익하다고 바라보았다. 또한, 아우구스티스는 지배를 원죄의 결과로 바라보며, 원죄를 억누르기 위해 지배가 필요한 것이라고 주장한다.
참고 자료
신승환, 『지금, 여기의 인문학』, 후마니타스, 2010,
박혁, 「권력과 다원성」, 『21세기 정치학회보』 제 24집 1호, 2014.05,
박혁, 「정치에서의 권위 문제- 한나 아렌트의 권위개념에 관한 고찰」, 『21세기 정치학회보』 제 19집 3호, 2009.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