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유세란?
부유세는 부의 재분배를 목적으로 일정 규모를 초과하는 개인 재산에 세금을 부과하는 것을 말한다. 기업과 개인 소득에 대한 과세와는 구별된다. 20세기 초 소득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해 북유럽을 중심으로 도입하기 시작했다. 1995년 기준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부유세를 도입한 국가는 유럽을 중심으로 15개국에 달했으나 2019년 3월29일 현재 제도를 유지하고 있는 국가는 스위스 노르웨이 스페인 벨기에 등 4개국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9년 3월29일 불름버그통신보도) 하지만 부유세는 저축 감소, 자본 유출, 조세 저항 등 부작용을 야기하기도 해 이를 도입했던 국가의 상당수가 앞다퉈 부유세 폐지에 나서고 있다. 독일과 프랑스, 스웨덴, 네덜란드, 오스트리아 등 10여 개국은 부유세를 폐지했다. 주된 이유는 제도를 시행해 보니 사회적 손실이 더 컸기 때문이다. 당장 세수 증가에 비해 세금을 징수하는 데도 과도한 직·간접 비용이 들었다.
프랑스는 가장 최근인 2017년 이 같은 이유로 부유세를 폐지했다. 에릭 피셰 프랑스 KEDGE 경영대 교수의 연구에 따르면 정부가 부유세를 부과한 지난 10년간 연평균 36억유로(약 4조5900억원)의 추가 세수가 확보됐지만, 매년 약 70억유로의 사회적 비용을 발생시켰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