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지리교과서 내 교육내용 분석- 2005년판 중학교 교과서를 중심으로
- 최초 등록일
- 2020.09.23
- 최종 저작일
- 2015.06
- 1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목차
Ⅰ. 서론
Ⅱ. 북한 지리교육의 학제와 교과구성
Ⅲ. 북한 지리교육의 목적과 특징
Ⅳ. 남한 지리교과서와의 비교
Ⅴ. 결론
Ⅵ.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통일이란 단순히 국호와 국가, 국기 등을 하나로 규정하는 것이 전부가 아니다. 이는 거시적 차원을 넘어 미시적 차원의 통합이 병행되어야만 한다. 요컨대 정치적 통합뿐만 아니라 경제, 사회, 문화적 요소 등 모두가 단일해지거나 그에 수렴하는 형태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것들이 성공적으로 수행되었을 때 비로소 올바르게 통합이 이루어져 통일이 완성되었다고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그 중에서도 교육에 대해 알아보는 것은 통일을 수행하는 과정에 있어 중요한 과제다. 왜냐하면 교육은 남북이 서로의 목표를 투영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질적’이라는 단어가 낯설지 않을 만큼 분단은 장기화되었다. 그리고 서로의 교육은 다르게 이루어져 왔다. 하지만 앞서 언급했듯 우리는 이를 극복하고 통일을 이룩해야 한다. 그리고 이를 위해선 북한 교육제도를 살펴봄으로써 이것이 어떻게 통합될 수 있는지 꾸준히 연구해야 한다. 따라서 본 글은 북한의 교육에 대해 주목하되, 그 중에서도 지리교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선적으론 북한의 학제와 법제구분을 짚어본 후 지리교과가 어떠한 학년에 배정되어 있는지 또한 살펴본다. 그리고 2005년판 북한 중학교 지리 교과서를 중심으로 그 목적과 특징을 정리한다. 그리고 마지막에는 남한 지리교과서와 간략한 비교를 통해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다.
Ⅱ. 북한 지리교육의 학제와 교과구성
우선 본격적으로 북한의 지리교과에 대해 알아보기에 앞서 그들의 학제구분에 대해 짚어보겠다. 통일교육원에서 발간한 북한이해(2014, 231-252)에 따르면 북한은 2013년 기준으로 12년제 전반적 의무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이것을 세분화하면 유치원 1년, 소학교 5년, 초급중학교 3년, 고급중학교 3년이 된다. 북한은 1975년부터 2012년까지 11년제 전반적 의무교육을 시행해 왔다.
참고 자료
박윤식 2006. “북한의 지리교육 : 조선혁명을 위해선 ‘지리’를 잘 알아야 한다.” 『통일한국』 100-101.
비상교육 2012. 『고등학교 한국지리』
이전 2005. “북한의 지리교과서에 대한 일고찰 : 북한의 고등중학교 지리교과서 1990년판과 200년판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제11권 제6호, 607-619.
차승주 2003. “남북한 지리교과서 단원내용 비교분석.” 고려대학교 석사 학위 논문.
통일교육원 2014. 『북한 이해 2014』.
김문정 2013. “2005년 간행 북한 교과서 『지리』의 학습 자료 및 학습활동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석사 학위 논문.
구성훈 2010. “남북한 초등 지리교육내용 비교연구 : 교과서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경인교육대학교 석사 학위 논문.
교육도서출판사 2005. 『지리』 중학교 1
교육도서출판사 2005. 『지리』 중학교 2
교육도서출판사 2005. 『지리』 중학교 3
교육도서출판사 2005. 『지리』 중학교 4
교육도서출판사 2005. 『지리』 중학교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