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디칼 중합 메커니즘의 이해 및 괴상중합에 대한 중합법을 습득하고 Poly(methyl methacrylate) (PMMA) 중합과정 이해 및 소재특성을 이해한다.
Ⅱ. 실험원리
<라디칼중합(Radical Polymerization)>
일반적인 라디칼 중합은 사슬 성장 중합의 메커니즘을 따라 개시 반응(initiation), 전개 반응(propagation), 정지 반응(termination)으로 구분한다. 아래 예시는 폴리스타이렌의 라디칼 중합 반응이다.
•개시 반응(Initiation) : 개시제가 두 개로 쪼개져 라디칼을 만들고, 이 라디칼이 단량체와 결합하여 탄소 라디칼을 만들면서 중합을 개시하게 된다. 이 실험의 경우 개시제는 AIBN, 단량체는 MMA이다.
•전개 반응(성장 반응, Propagation) : 개시반응으로 생성된 탄소라디칼이 단량체를 만나 끊임없이 사슬을 성장시키는 단계이다.
•정지 반응(종결 반응, Termination) : 라디칼의 높은 반응성은 고분자 제조를 위한 단량체와의 반응 이외에 다양한 부반응을 일으킨다. 이 과정에서 고분자 사슬 말단은 활성을 잃고 사슬 성장이 멈춘다. 이를 정지 반응 또는 종결 반응이라고 한다.
•사슬 전이 반응(Chain transfer) : 고분자 사슬 중간에 다른 고분자 사슬의 라디칼이 치환되어 고분자 사슬 중간에 곁가지가 생성되는 반응이다.
<라디칼 중합 기술>
산업적으로 중요한 다음의 네 가지 중합법이 사용된다.
•벌크 중합 (괴상 중합, Bulk)
용매를 사용하지 않고 단량체와 개시제만 사용하여 중합하는 방법이다.
장점 : 개시제와 단량체만 들어가기 때문에 반응속도가 굉장히 빠르다. 전체로 보았을 때, 단량체의 농도가 굉장히 높고 순수성이 좋으므로 높은 전환률을 이룰 수 있고, 굉장히 단순하게 행할 수 있는 중합니다.
단점 : 자동 가속화 반응이 일어나 생성되는 고분자의 분자량을 제어하기 힘들다.
참고자료
· Joel R. Fried, "고분자공학개론", 자유아카데미, 2015
· 이행자 외 3인, Korea Chem. Eng. Res. Vol.48, pp.609-pp.614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