Ⅱ. 본론
1. 장애에 대한 보편적 사회인식
2. 우리나라의 장애인식개선을 위한 노력
3. 장애에 대한 인식개선을 위한 방안
Ⅲ. 결론
Ⅳ. 참고자료
본문내용
Ⅰ. 서론
「장애인복지법」 제2조 제1항에서 “장애인”이란 신체적 · 정신적 장애로 오랫동안 일상생활이나 사회생활에서 상당한 제약을 받는 자로 정의하고 있다. 제2조 2항에 따르면 이 법을 적용받을 수 있는 장애인은 제1항에 따른 장애인 중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장애가 있는 자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장애의 종류 및 기준에 해당하는 자를 말한다.
2018년 기준으로 우리나라 등록장애인은 약 258만 명으로 우리나라 전체 인구의 5%를 차지하고 있다. 위의 표와 같이 우리나라 장애인의 비율은 해를 거듭할수록 조금씩 증가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장애 인구는 의료기술 발전으로 평균수명 연장에 따른 고령화로 인한 노령 장애인의 증가, 산업화로 인한 산업재해, 교통사고 등의 이유로 앞으로도 꾸준히 증가할 것이라 생각된다.
하지만 계속해서 장애인의 인구 비율이 높아짐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사회 전반에는 장애인을 바라보는 시선이 불편하고 부정적이다. 예를 들면 시각장애인이 안내견과 함께 탑승하려고 할 때 정당한 이유가 없이 승차를 거부한다거나 ‘왜 굳이 밖에 나와서 다른 사람들을 불편하게 하냐!’ 라고 폭언을 하는 등의 사례는 단순히 개인의 비틀어진 인식을 보여주는 것이 아닌 사회 전반적으로 가지고 있는 잘못된 생각을 그대로 드러낸 사건이라 볼 수 있다.
또한 우리나라에서 장애인으로 살아간다는 것은 매우 절망스러운 일이라고 할 수 있다. 모두가 사용하는 교육기관이나 대중교통 등에서도 장애인을 위한 시설 및 설비가 제대로 갖추어져 있지 않은 곳이 많을 뿐만 아니라 장애를 마치 잘못된 것, 부족한 것, 나쁜 것처럼 괄시하고 깎아내리는 사회적 인식이 만연하게 펴져 있기 때문이다.
참고자료
· 통계청·보건복지부(2020), 『2020 통계로 보는 장애인의 삶』
·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2019), 『한 눈에 보는 2019 장애인통계』, 기본과제보고서
· 서울시 여성가족재단(2019), 『양육자를 위한 장애인식의 이해』, 서울시 여성가족재단 연구사업보고서
· 안승진, 『이광재 “절름발이 표현으로 장애인에 상처 드려 사과”』, 세계일보, 2020.08.06., http://www.segye.com/newsView/20200806518050?OutUrl=naver
· 신중언, 『“집값 떨어진다 나가라”…장애인 혐오 벽보 붙인 아파트』, 매일신문, 2020.06.23., https://news.imaeil.com/Society/2020062314542210917
· 박종주, 『차별금지법, 우리의 삶을 셀 수 있도록』, 참세상, 2020.08.10.,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152&aid=0001960485
· 장우리, 『'장애 인식개선 교육' 시행 3년…"참여율 낮고 형식적 운영"』, 연합뉴스, 2019.12.09.,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11264038
· 권중훈, 『제주도 조례, 장애인 차별 내용·용어 산재』, 에이블뉴스, 2020.07.30., http://www.ablenews.co.kr/News/NewsContent.aspx?CategoryCode=0039&NewsCode=003920200730194837424365#z
· 윤재영·김은초, 『언론은 ‘혐오표현’의 확성기인가』, 단비뉴스, 2020.08.04., http://www.danbi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3414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