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후백제와 견훤
- 최초 등록일
- 2003.11.18
- 최종 저작일
- 2003.11
- 1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소개글
참고하는데 좋은 자료가 되었으면 합니다. ^^
목차
서론 : 1. 견훤 왕에 대한 기존의 인식
본론 : 견훤에 관한 연구
2. 견훤의 출신
3. 견훤의 세력기반
4. 견훤의 경제정책
5. 견훤의 호족정책
6. 견훤의 외교정책
7. 견훤의 정치이념
8. 견훤의 인재등용
9. 후백제의 분열
10. 견훤(甄萱)의 이름에 관한 설
결론 : 견훤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위해
본문내용
그 동안 후삼국시대를 나말려초(羅末麗初)에 있어 과도기적인 시기로 왕건의 고려건국의 과정의 하나라고 보고, 견훤의 후백제와 궁예의 태봉을 고려건국의 밑거름으로 보고 있다. 그리고 왕건의 고려에 비해 상대적으로 견훤과 궁예는 저평가 되어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중에서도 견훤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1. 견훤 왕에 대한 기존의 인식
후백제를 건국한 견훤(甄萱)의 일반적인 평가나 인식은 고려 태조 왕건(王建)을 가장 이상적이고 훌륭한 군주의 상으로 군주의 상으로 인식하고 있는 반면에 궁예와 더불어 포악하거나 무능한 인물로 폄하하는 경향이 있었다.
그 동안 일반적인 견훤에 대한 평가를 보면, 후백제를 건국한 견훤의 세력 기반을 복잡한 세력구성을 가진 것으로 보고, 정치와 외교는 어느 정도 기민한 수완을 보여 주었으나 그것은 기껏해야 고대사회 동요의 재조정에 그치는 것이지 새로운 사회관계에 대한 전망을 가졌던 것으로 보지는 않는다. 특히 왕건의 민생포용정책에 비해 오히려 견훤은 무력의 과시만을 일삼는 것으로 기술하고 있다. 그리하여 결론적으로 장군의 자격은 있으나 앞을 내다보는 통찰력이 부족하고 무력만을 일삼아 구신라의 전통적인 세력에 타격을 가하여 왕건이 대두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 준 것에 불과하다고 보고 있다. 고려시대 김부식의 삼국사기에도 비슷한 역사의식을 볼 수 있다. 하물며 궁예와 견훤 같은 흉악한 인간이 어찌 我 太祖에게 항거할 수 있으리요. 다만 태조를 위하여 백성을 몰아다 준 것이었다.(<삼국사기>견훤열전)
참고 자료
․이도학, 『궁예 진훤 왕건과 열정의 시대』, 김영사, 2000
․이도학, 『진훤이라 불러다오』, 푸른역사, 1998
․충남 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후백제와 견훤』, 서경문화사, 2000
․국사편찬위원회, 「고등학교 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