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간호학 A+, 간호진단4개,간호과정 4개]자궁경부무력증, 자궁경부무력증 산모의 자연분만, 자궁경부무력증 케이스, 자궁경부무력증 간호과정, 자궁경부무력증 CASE, 자연분만 CASE, IIOC, 급성통증, 불안, 위험성, 변비
- 최초 등록일
- 2020.09.17
- 최종 저작일
- 2020.06
- 2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A+ 케이스 만점 받았습니다.
교수님께서 케이스 보시고는 전체적으로 탄탄하고 우선순위도 잘 잡고 간호과정과 검사 부분도 이론적 근거를 꼼꼼히 작성하여 너무 탄탄하게 잘 하셨다고 말씀해 주셨습니다. 정말 오랜 시간 공 들여서 한거라 문헌고찰부터 시작해서 간호과정까지 모두 자신 있습니다.
4개의 간호진단을 세웠고 4가지의 간호진단에 대해서 모두 간호과정을 작성하였습니다. (모든 간호과정은 기본 2페이지 이상의 분량(간호계획 및 중재 6개 이상)을 갖추고 있습니다.) + 간호과정 내용 중 기대 효과의 내용도 포함하고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A. 선정이유
B. 대상자 질환
Ⅱ. 문헌고찰
Ⅲ. 본론
A. 간호력
B. 신체검진
C. 진단적 검사 및 기타자료, 투약
D. 병의 경과
E. 간호과정
Ⅳ. 결론
A. 간호과정을 적용하면서 느낀 점
본문내용
[간호사례 선정 이유]
출산율은 47만 171명 (2010), 43만 5435명(2015), 32만 6900 (2018)로 매년 현저히 감소하고 있지만 고령임신(35세 이상 산모)의 비율은 17.1%(2010), 21.6% (2016), 31.8% (2018)로 빠른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고위험 산모 또한 27%(서울중구 보건소. 2017)에서 42%(서울중구 보건소. 2018)의 수치로 증가추세에 있다. 이처럼 고위험 산모와 고령산모가 증가하면서 유산의 빈도도 자연스레 높아졌으며 임상적으로 확인된 임신 중 자연유산의 빈도는 약 10~15%로 알려져 있다. 이때 자연유산의 여러 원인 중에는 해부학적의 이상이 있으며 여기에 자궁경부 무력증이 해당된다. 자궁경부 무력증은 반복유산 환자에게서 12~16%확률로 나타나고 전체 임신 중 1~2%발생한다. 이는 수치상으로는 낮다고 생각될 수도 있으나 자궁경부 무력증으로 조산된 태아의 생존률은 극히 낮다. 이러한 자궁경부 무력증은 자연유산과 더불어 습관성 유산, 조기파막, 만삭전 조기파막 등의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
< 중 략 >
[간호진단]
#1 분만 1기 동안의 자궁수축과 관련된 급성통증
#2 입원 그리고 태아건강과 관련된 불안
#3 회음절개 부위와 관련된 감염 위험성
#4 임신으로 생긴 복합적 요인과 관련된 변비
[간호과정]
#1
주관적 자료 :
- “배가 너무 아파요.”
- “제발 안 아프게 좀 해주세요..”
- “죽을 거 같아요...”
- 입원했을 때부터 계속 아프다고 함
객관적 자료 :
- NRS 점수 : 7점
- 인상을 쓰며 끙끙 신음소리를 냄
- 눈물을 보임
- 보호자의 손을 꽉 잡고 있음
- 통증이 5분 간격으로 25초간 지속됨
- 입술이 말라있었음
간호목표 :
- 대상자는 진통에 대비하여 통증에 대처하는 방법을 이해하고 대처할 수 있다.
- NRS 점수가 4점으로 감소한다.
참고 자료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 편집부. 여성건강간호학Ⅱ. 수문사. 2018. 245-247
AUDREY BERMAN, SHIRLEE J SNYDER, 손정태, 이현주. 기본간호학Ⅱ. 현문사. 333-354
윤은자. 성인간호학1. 수문사. 2019. .41-45, 57-61, 399, 404
황옥남, 유약숙, 조경숙, 김희경, 권보은 외. 성인간호학(상). 현문사. 2018. 246-259, 409-410
원종순.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현문사. 2018
김창헌. "자궁 경관 무력증에 관한 임상적 고찰" VOL.- NO.- (2000)
김기민. "자궁경관무력증의 임상적 연구" VOL.- NO.- (2000)
강기주. "자궁경관 무력증에 관한 임상적 고찰" 부산대병원학술지 VOL.- NO.8 (2000)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main.asp
EBS동영상, “자궁경부무력증”, 2008
질병관리본부, 국가건강정보포털.
http://health.cdc.go.kr/health/HealthInfoArea/HealthInfo/View.do?idx=1390&subIdx=2
통계청. http://kostat.go.kr/portal/korea/index.a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