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흡기계 관련 장애 신생아
- 최초 등록일
- 2020.09.16
- 최종 저작일
- 2019.10
- 1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소개글
호흡기계 관련 장애 신생아의 건강 회복을 위한 간호 및 관리
목차
Ⅰ. 호흡기게 관련 장애 문헌고찰
1. 정의
2. 원인 및 병태생리
3. 질환 관련 검사의 방법, 시기, 주의점 등
4. 치료 및 간호
5. 질환에 따른 중요 내용
Ⅱ. 대표적인 간호 진단에 따른 간호과정
Ⅲ. 선행학습 및 실제(가상)의 사례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정의
호흡곤란(respiratory distress)이란 신생아의 호흡기능장애나 일차적으로 폐성숙의 발달지연과 관련된다. 호흡곤란증후군(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RDS)은 유리질막병(hyaline membrane disease, HMD)이라는 용어로 가장 흔하게 표현되며, 폐표면 계면활성제의 생성과 분비가 부족하게 되면서 폐포가 제대로 펴지지 않아 호흡곤란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이 물질은 임신 20주 이후부터 생성되기 시작하며 임신 34주가 되어야 폐포 내로 충분히 분비되어 제 역할을 하게 된다. 이는 다른 어떤 질병보다도 높은 영아사망률을 일으킬 뿐 아니라 장기적인 폐와 신경계의 합병증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다.
이 증후군은 거의 미숙아에서만 나타나는데, 약물에 노출된 태아나 자궁 내에서 만성적 스트레스(모체의 자간전증 또는 임신성 고혈압 등)를 받은 영아에게는 거의 드물다. 호흡곤란을 일으킬 수 있는 폐 이외의 원인에는 패혈증, 심장결함(구조적 혹은 기질적), 냉기에 노출, 기도폐색(폐쇄), 뇌실내 출혈, 저혈당, 대사성 산증, 급성실혈(blood loss), 약물 등이 있다. 신생아기의 폐렴은 박테리아나 바이러스에 의한 호흡곤란인데, 호흡곤란증후군의 합병증으로 발생하기도 하고 단독으로 초래될 수도 있다.
2. 원인 및 병태생리
1. 폐의 표면 활성제 부족에 의한 무기페
2. 이로 인한 폐포에서의 공기 교환의 부족으로 저산소증, 고탄산혈증, 산증의 가중
3. 폐 순응도 감소, 저항의 증가, 기능적 폐 용적의 감소 등의 호흡 생리의 장애
4. 여러 장기의 합병증 유발 등의 병태 생리로 말미암아 발생
미숙아는 폐가 가스교환을 위한 효과적인 기관으로 완전히 발달하기 전에 태어난다. 이것이 호흡곤란증후군을 초래하는 결정적인 요인이다. 미숙아의 경우에는 표면활성제의 분비가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폐포가 제대로 펴지지 않게 된다. 그러면 폐의 가스교환이 어렵게 되고, 체내에는 산소는 적고 이산화탄소가 많아지게 된다.
참고 자료
김영혜 외(2018), 「아동간호학」, 현문사
삼성서울병원 건강정보 , 「소아/신생아 질환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 http://samsunghospital.com/home/healthInfo/content/contenView.do?CONT_SRC_ID=09a4727a8000f29b&CONT_SRC=CMS&CONT_ID=2573&CONT_CLS_CD=001020001008, 2020.05.29
세브란스 어린이병원 질환정보, 「호흡곤란 증후군(유리질막병)」, 2006.12.27, https://sev.iseverance.com/children/dept_clinic/department/neonate/disease/view.asp?con_no=20298&page=1&SearchField=&SearchWord=, 2020.05.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