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진단 6개, 간호과정 3개
#1. 시술부위 지연된 지혈로 인한 혈종과 관련된 급성 통증
#2. 질병과정으로 인한 심계항진 및 흉통과 관련된 피로
#3. 주위환경 변화로 인한 신체, 심리적 불안정과 관련된 수면 양상의 장애
목차
I. 대상자 질환에 대한 문헌고찰
1. 협심증
2. EPS&RFCA
II. 자료수집
1. 일반적 정보
2. 건강정보
1) 정신적, 정서적 상태
2) 간호력
3. 진단적 검사
1) 임상화학
2) 일반 혈액학
3) 진단 면역학
4) 기타 검사결과
4. 활력징후
5. 투약정보
III.간호과정
1. 자료수집
2. 간호진단
3. 우선순위 결정
4. 간호중재 및 계획
IV. 참고문헌
본문내용
I. 대상자의 질환에 대한 문헌고찰
1. 협심증 (angina pectoris)
1) 정의
심장은 크게 3개의 심장혈관(관상동맥 coronary artery)에 의해 산소와 영양분을 받고 활동한다. 동맥경화증, 혈전증, 혈관의 수축 및 연축(spasm) 등의 원인에 의해 3개의 관상동맥 중 어느 한 곳에서라도 급성이나 만성으로 협착(수축 등의 원인에 의해 혈관 등의 통로의 지름이 감소하는 것)이 일어나는 경우, 심장의 전체 또는 일부분에 혈류 공급이 감소하면서 산소 및 영양 공급이 급격하게 줄어들어 심장근육이 이차적으로 허혈 상태에 빠지게 된다. 이러한 상황을 협심증이라고 한다.
협심증에는 세 가지 형태가 있는데,
-동맥경화증 때문에 만성적으로 협착이 되어서 생기는 협심증을 (만성)안정형 협심증,
-죽상경화병변이 파열되어 혈전이 생겨서 급작스럽게 협착이 심해져서 생기는 협심증을 불안정형 협심증으로 정의하며,
-죽상경화병변이 별로 없음에도 불구하고 혈관의 연축에 의해 혈류 장애가 발생하여 초래되는 협심증을 변이형(이형성) 협심증이라고 한다.
<중 략>
4. 간호중재 및 계획
간호진단
#1. 시술부위 지연된 지혈로 인한 혈종과 관련된 급성 통증
관련요인
주관적 자료
S01. “ 여기 만지면 단단한데(혈종생긴 부위)가 제일 아파요”
S02. “여기(양쪽 femoral stie) 피멍 크게 든것좀 봐”
S03. “계속 지혈안돼서 꼼짝도 못했어요.”
S04. “어제 지혈 안돼서 밤새 한잠도 못잤어요"
S05. (혈종부위 누르면서 아프냐고 묻자) “아파요”
S06. (혈압이 낮아 다리를 올리려고 하자) “여기(혈종발생부위)아파서 못 올리겠는데..”
객관적 자료
O01. Rt EPS site(femoral) oozing 관찰됨(24일)
O02. Rt&Lt femoral site suture 2땀
O03. oozing site 8시간 이상모래주머니 적용중
O04. 시술부위 지혈 잘 안돼 밤동안 부동 유지하고 모래주머니 계속 적용함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