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동맥판막폐쇄부전증케이스스터디
- 최초 등록일
- 2020.09.13
- 최종 저작일
- 2018.11
- 1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목차
Ⅰ. 문헌고찰
Ⅱ. 간호사정
Ⅲ. 투약
Ⅳ. 임상검사
Ⅴ. 간호과정
Ⅵ. 참고문헌
본문내용
정의
대동맥판막 폐쇄 부전증은 심장이 수축한 뒤 대동맥판막이 완전히 닫히지 않아, 심장 근육이 이완할 때 대동맥으로부터 좌심실로 혈액이 역류하는 경우를 말한다. 경도의 대동맥판막 폐쇄 부전증은 일생 동안 큰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경우가 많으나, 중등도 이상에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심장 기능이 저하되는 만성 심부전증이 발생할 수도 있다.
원인
대동맥판막은 정상 구조에서 3개의 얇은 소엽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위에서 내려다 보았을 때 ‘ㅅ’자 모양을 하고 있다. 정상적인 대동맥판막이 3개의 소엽으로 이루어지는데 반해, 남자 아이 약 50명당 1명, 여자 아이 약 100명당 1명 꼴로 선천적 이상으로 첨판이 두 개뿐인 이엽성 대동맥판막을 가지고 태어난다. 이로 인하여 대동맥판막의 기능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대동맥판막 폐쇄 부전증이 발생한다. 드물게는 유전병인 마판 증후군(Marfan syndrome)에 의해 판막 기능이 감소하여 대동맥판막 폐쇄 부전증이 발생할 수 있다.
선천성 원인 이외에 류마티스성 또는 감염성 심내막염에 의해 판막이 손상되어 발생하거나 대동맥류에 의해 이차적으로 생기는 경우도 있다. 또한 강직성 척추염이나 베체트 병과 같은 드문 염증성 질환 및 퇴행성 변화에 의해서 대동맥판막 폐쇄 부전증이 발생하기도 한다. 최근에는 평균 수명이 증가함에 따라 퇴행성이 원인인 대동맥판막 폐쇄 부전증도 많이 발생하고 있다.
증상
대동맥판막 협착증과 마찬가지로, 경한 경우에는 무증상인 경우가 많으나, 중증도 이상일 경우에는 피로감, 활동 시 호흡 곤란, 심계항진, 흉통 등이 나타날 수 있다. 다른 판막 질환과 마찬가지로 시간이 경과하면 심장이 확장되면서 심장 기능이 감소하는 심부전증이 발생하게 된다.
진단
환자의 증세 호소와 더불어 신체 검진상 심잡음의 존재로 질환을 의심해 볼 수 있다. 심잡음이 관찰될 경우 심장 초음파를 시행하여 대동맥판막 협착증의 중증도를 평가할 수 있다.
참고 자료
[네이버 지식백과] 대동맥판막 폐쇄 부전증 [aortic insufficiency]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송경애 외(2016), 기본간호학2, 수문사
원종순 외(2015),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현문사
조경숙 외(2016), 성인간호학 상, 현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