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진단 3개, 각각 간호과정 다 작성되어 있습니다.
#1. 수술과 관련된 급성 통증
#2. 분만과 관련된 불안
#3. 수술과 관련된 감염위험성
제왕절개 케이스 스터디인만큼 서론부분부터 제왕절개 각 과정들을 사진으로 첨부하였습니다. 제왕절개에 필수적이 간호진단으로 선정하였고 과정도 상세히 기록되어 있습니다.
수술 전중후 활력징후와 NRS, 수술동안 투여된 약물, 제왕절개 분만의 산욕기 사정 기록지, 아프가점수 등 자세히 작성하여 도움되실 겁니다.
제가 실습했던 병원이 정말 한가했던 병원이어서 하루종일 EMR보고 작성하여서 그대로 참고하셔도 됩니다.
간호진단 3개, 각각 간호과정 다 작성되어 있습니다.
#1. 수술과 관련된 급성 통증
#2. 분만과 관련된 불안
#3. 수술과 관련된 감염위험성
제왕절개 케이스 스터디인만큼 서론부분부터 제왕절개 각 과정들을 사진으로 첨부하였습니다. 제왕절개에 필수적이 간호진단으로 선정하였고 과정도 상세히 기록되어 있습니다.
수술 전중후 활력징후와 NRS, 수술동안 투여된 약물, 제왕절개 분만의 산욕기 사정 기록지, 아프가점수 등 자세히 작성하여 도움되실 겁니다.
제가 실습했던 병원이 정말 한가했던 병원이어서 하루종일 EMR보고 작성하여서 그대로 참고하셔도 됩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 문헌고찰
Ⅱ. 본론
1. 자료수집
2. 간호과정
Ⅲ. 결론
본문내용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Cesarean’ 이란 용어는 라틴어 caedere에서 따온 용어로 영어의 절개에 해당한다. 기록에 의하면 16세기에 산모에게 처음으로 제왕절개술을 시행한 기록이 있으나 20세기 초반까지 제왕절개술을 받은 산모들이 거의 대부분 세균감염으로 사망하여 보편화 되지는 못하였다.
그러나 이후 수술기법, 마취과학, 수혈의학의 발전, 특히 항생제의 발견과 발달 등으로 인하여 최근 우리나라의 제왕절개 출산빈도는 지난 1960년대 후반, 4%에 비해 2006년 상반기에는 36.4%에 달하게 되었다.
< 중 략 >
<수술 전 간호>
12:10 - 입원함(외래, 휠체어)
12:12 - 진통 NRS 4점으로 측정됨(주기적, 뒤틀리는 양상)
12:15 - IV start 18G 좌측(H/S 1000mL)
12:22 - 수술 전 교육 및 수술 전 피부준비함(금식, 관장, 피부준비, 수술동의서 작성, 수술 절차, 의치, 안경, 콘텍트 렌즈 제거, 장신구 제거, 환의 착용, 혈액준비[Hb : 12.4 / O+ 확인함] 등)
13:00 - 항생제 피부반응 검사함(pazeron 1.0g 우측 팔, 결과 음성)
13:10 - F/C 삽입함(16Fr, ballooning 6cc, silastic 2-way)
14:00 - 진통 NRS 3점
<수술 전 V/S>
BT : 36.9℃ PR : 98회/분 RR : 24회/분 BP : 130/80mmHg
Ab screening, ABO, Rh(D) 검사
14:10 - 수술실 감
<수술과정>
수술 시작시간 14:10 총 수술시간 2시간 15분 마취방법 전신마취
수술명 : Repeat cesarean section 출혈량 : 450cc
신생아 만출시간 14:46 태반분리방법 : manual(손이나 기구 이용)
태반 : 600g 제대 : 1 vein, 2 arteries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