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VID-19(이하 코로나)가 세상에 끼친 영향력은 실로 대단했고 지금도 현재진행형이다. 메르스나 사스보다도 더 전염성이 강한 바이러스가 범지구적으로 다시 유행하여 수많은 국가의 사회를 얼어붙게 만들었다.
요즘 같은 지구촌 세상은 마치 각 나라가 촘촘한 거미줄처럼 이어져 있어서 한 나라가 타격을 입으면 주변 나라 또한 영향을 받는다. 당장 최근에 뜨거운 감자로 올랐던 마스크만 봐도 그렇다. 수요가 공급을 월등히 추월해서 품귀현상을 겪은 게 근본적인 이유지만, 마스크는 원자재를 가공해 제품을 양산하는 단순한 공정을 따르기 때문에 원자재 수급이 생산량을 결정짓는다. 바로 그 원자재에 해당하는 필터 중 30퍼센트는 중국에서 수입한다. 중국에서 필터 수입이 막히니 우리나라 공급에 바로 문제가 생긴 것이다.
이처럼 코로나는 의료체계 부실이나 경제 위축 등 여러 분야에서 변화를 야기했다. 그 중에서 나는 경제적 변화에 대해 좀 더 집중하겠다. 단지 국내의 변화 양상을 조사하는 것에서 그치는 게 아니라 코로나가 퍼져나간 이 후 각 국의 자동차 산업에 대한 변화 양상을 찾아봤다.
자동차 산업이야말로 한국의 주력산업이며 GVC 개념을 적용시키기에 최적이다. GVC는 생산 공정이 대내외적으로 분산되어 가는 국제적 분업체제를 의미한다. 코로나가 세계적인 경제 타격을 선사하면서 각 나라의 경제가 마비되는 현상이 연달아 발생했다. 그로 인해 국가 간 분업체계에 차질이 생기는 등 상품의 생산 및 판매 단계가 휘청거리는 모습을 보여줬다.
참고자료
· 추지미(포스코 경영연구원)_「2020 주요국 자동차 생산 전망」
· KOSME 융합금융처 「2019. 5 KOSME 산업분석 Report (자동차)」
· 미래한국 Weekly_2018.07.27_자동차 산업의 특성과 성장
· http://www.futurekorea.co.kr
· Deloitte_COVID-19의 산업별·지역별 영향
· 문병기, 강성은_한국무역협회_코로나19의 수출 영향 및 전망
· 한국무역협회 해외시장 뉴스_인도 자동차 시장 전망
· 임두빈, 엄이슬_삼정 코로나19에 따른 자동차산업 동향 및 대응전략
· ET Auto com_The US car industry is restarting after Covid. Now what?
· KOTRA_GVC 재편에 대응한 인도의 외국인 투자유치 전략 분석
· 채영석_전쟁과 코로나 19, 그리고 자동차산업
· KIEP_코로나19 사태의 주요국 경제에 대한 영향과 시사점
· KIET_코로나19(COVID-19)가 중국 산업경제에 미치는 영향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