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복지의 역사를 한국, 미국, 영국을 비교하여 설명하시오. 우리나라의 새마을 운동의 진행과정을 조사하여 쓰고 이에 대해 평가해 보시오.
- 최초 등록일
- 2020.09.07
- 최종 저작일
- 2020.05
- 1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소개글
"지역사회복지의 역사를 한국, 미국, 영국을 비교하여 설명하시오. 우리나라의 새마을 운동의 진행과정을 조사하여 쓰고 이에 대해 평가해 보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한국의 지역사회복지의 역사
2. 미국의 지역사회복지의 역사
3. 영국의 지역사회복지의 역사
4. 새마을 운동의 진행과정
5. 새마을 운동의 평가
Ⅲ.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지역사회복지는 전통적으로 국가 주도의 사회복지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점들로 인한 사회복지 사각지대의 공백을 보충하기 위해 발전되어 왔다. 이러한 성격으로 인해 지역사회복지는 공공부문보다는 민간부분의 자발적 참여가 강조되어 자선조직운동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특히 지방자치가 발달된 영국과 미국은 주민의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참여를 기반으로 하는 지역사회복지가 정착되었으며, 이러한 영·미식 지역사회복지는 한국을 포함한 다른 나라에도 영향을 주었다. 인간이 공동체를 만들어 살기 시작한 그때부터 지역사회복지는 시작되었다고 말할 수 있다. 지역사회복지는 쉽게 말하면 더불어 사는 방법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지역사회가 해체되고 있는 오늘날에도 지역사회복지는 사람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중요한 숙제를 안고 있는 것이다.
우리나라는 지반 반세기동안 세계 역사에서 유래를 찾아보기 힘든 놀라운 성장을 보여줬다. 우리나라는 강한 정신적인 자주의식을 근간으로 하면서도 빈곤을 하나의 숙명으로 인식하다시피 하였다. 이러한 가난을 벗고 우리도 잘 사는 민족이 되기 위해 1960년대부터 경제발전에 주력하게 되었고, 그것은 1970대에 들어와 더욱 가속화되기 시작하였으며 새마을 운동은 그 가속화의 촉매가 된 것이다.
본론에서는 한국, 미국, 영국의 지역사회복지 역사를 비교해 보고, 농촌부흥을 위한 국가정책으로 시작되어 전국적·범국민적으로 전개되었던 새마을운동의 진행과정을 알아보고 평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Ⅱ. 본론
1. 한국의 지역사회복지의 역사
(1) 근대 이전
근대 이전의 지역사회복지는 국가에 의한 제도보다는 촌락 단위의 협동관행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따라서 민간 단위의 지역복지사업은 촌락중심으로 두레, 계, 품앗이, 향약, 오가통 제도 등 기타 협동관행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두레는 촌락단위에 조직된 농민들의 상호협력체이고, 계는 한국사회 특유의 조합적 성격의 협동조직을 말하며, 품앗이는 노동력을 서로 차용하거나 교환하는 조직이며, 향약은 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지식인들간의 자치적인 협동조직이고 오가통은 5가구를 1통으로 편성하여 지방행정 운영을 돕게 하는 제도인데 이처럼 민간단위에서 행해진 협동관행으로 다양하게 지역사회복지를 이루고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참고 자료
오정수 · 류진석, <지역사회복지론>, 학지사, 2009
김경섭 · 김성철 · 김태식 · 김현호 · 양경희 <지역사회복지론 >, 양서원, 2012
홍현미라 · 김가율 · 민소영 · 이은정 · 심선경 · 이민영 · 윤민화 <지역사회복지론>, 학지사 2015.
김범수 · 신원우 <지역사회복지론>, 공동체, 2006
박용순 · 송진영 <지역사회복지론>, 학지사, 2012
최일섭 · 이현주, <지역사회복지론>,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
사회복지교육연구센터, <지역사회복지론>, 나눔의집, 2011
주재환 <기초자치단체 1974년과 2014년 새마을운동 비교>, 영남대, 2016
출처1: 새마을운동이란
http://theme.archives.go.kr/next/semaul/semaul01.do
출처2: 지역사회복지론 - 지역사회복지의 역사와 우리나라의 지역사회복지역사
http://m.blog.naver.com/dockersj/30178075465
출처3: 지역사회복지의 역사 (미국,영국,한국,일본)
http://m.blog.daum.net/webcollege/7749108
출처4: 지역사회복지의 역사
http://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6/chosun/jeongseongbae/4.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