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 CASE STUDY - Ischemia stroke 허혈성 뇌졸중과 관련된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 최초 등록일
- 2020.09.07
- 최종 저작일
- 2015.09
- 2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900원
소개글
안녕하세요
해당자료는 제가 간호학과 재학당시, 실제 병원실습을 바탕으로 작성한 case study 레포트 입니다.
업로드한 내용은 성인간호학 신경과 실습당시 case로 선정했던 "ischemic stroke" 에 대한
case study 자료 입니다. 실제 레포트 평가 A+ 받았던 자료로, 유용하게 참고하여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목차
1. 문헌고찰
1) 뇌졸중의 정의, 분류, 증상
(1) 허혈성 뇌졸중
(2) 출혈성 뇌졸중
2) 진단검사
3) 치료 및 관리 - 수술 & 비수술 요법
2. 대상자 사정
1) Admission note- 입원기록
2) 건강력, 계통문진 및 신체검진
3. 검사 및 검사결과
1) Brain MRI, CT 등의 검사결과
2) Lab data
4. 현재 투약중인 약물
5. 간호진단 및 우선순위
6. 간호과정
7.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문헌고찰
▪뇌졸중(Stroke)
1. 정의 및 분류, 증상
뇌졸중(Stroke)란, 뇌혈류의 장애로 인해 중추신경계에 기능장애가 초래되는 것을 의미한다. 뇌졸중은 크게 허혈성(ischemic)과 출혈성(hemorrhagic) 뇌졸중으로 구분할 수 있다. 먼저, 허혈성 뇌졸중은 혈전, 색전 등으로 인해 일시적 혹은 영구적으로 혈액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아 해당부위의 조직에 필요한 산소, 영양소 등의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결국 괴사와 같은 결과가 초래되는 것이다. 출혈성은 뇌혈관이 받는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동맥류(aneurysm) 등이 생성된 부위에서 압력을 견디지 못하고 터지게 되면서 유발되는 뇌졸중이다.
(1) 허혈성 뇌졸중(ischemic stroke)
①죽상경화성 뇌졸중(atherosclerotic stroke)
죽상경화성 플라크로 인해 뇌혈관이 막히면서 혈류공급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해 발생한다. 이는 고혈압과 당뇨와 관련이 있고 대상자의 50% 이상에서 일과성 허혈증(TIA, transient ischemic attack)이 전구증상으로 나타난다.
*일과성 허혈증(TIA, transient ischemic attack)
일시적이고 국소적인 대뇌허혈로 인한 가역성 신경계 기능장애를 말한다. 이는 일시적인 신경학적 결손으로 흔히 1-2시간 이내에 증상이 회복되며 뇌혈류가 정상으로 돌아오게 된다. 하지만 이는 임박한 뇌졸중의 경고일수도 있고 개인에 따른 시간차이는 있으나 TIA 이후 뇌졸중이 유발될 수 있다. 주 원인은 진행성 동맥경화증으로 인한 두개골 외부혈관의 폐쇄이고 가장 흔히 발생하는 부위는 내경동맥의 시작부위와 추골기저동맥 계통이다. 흔한 증상으로는 다리, 팔의 갑작스러운 허약감, 마비, 언어양상의 변화, 한쪽 눈의 시야장애 등이 있다.
참고 자료
김금자 외 12명(2012). 제2판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현문사.
김금순 외 (2014). 성인간호학 Ⅰ. 수문사
김금순 외 (2014). 성인간호학 Ⅱ. 수문사
Retrieved from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109201&cid=51003&categoryId=51019&mobile
Retrieved from https://www.druginfo.co.kr/(드러그인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