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실험값
(1) 작은 각에 대하여 sin theta SIMEQ theta 임을 확인
(2) 구형 추의 반지름 측정
(3) 중력가속도 측정
2. 결과분석
3. 오차 논의 및 검토
4. 결론
본문내용
[2] 결과분석
진자의 길이를 줄여가면서 실험을 했다.
진자의 길이가 줄어들수록 주기도 줄어드는 경향을 볼 수 있었다.
중력가속도의 참값 979.94 cm/s^2 과 실험값 979.9827 cm/s^2 가 거의 같았다.
따라서 단조화운동을 해석하여 얻은 실험식이 옳았고 실험 과정에서 단조화운동 역시 확인해 볼 수 있었다.
<중 략>
1회에서 6회까지의 실험 모두 0.5% 이내의 오차를 보였다.
오차요인들로는 실과 구슬의 길이 측정에서 길이를 잘못 재었다.(진자의 길이를 잘못 재었다.), 포토게이트를 제대로 설치하지 않았다. 처음에 진자를 놓을 때 외력을 가했다. 등이 있다.
① 진자의 길이를 잘못 재었을 경우
1회 실험을 예로 들어보자. 주기의 평균 1.95574 초와 중력가속도의 이론값인 979.94를 대입하여 역으로 진자의 길이를 계산해보면 진자의 길이가 94.94279 cm 가 나와야 했다. 하지만 우리는 실험에서 진자의 길이를 97.749 cm 로 측정했었다.
즉, 원래 측정했던 94.749보다 약 0.2cm 더 짧게 측정했기 때문에 실험값이 이론값보다 크게 나왔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3회 실험을 제외하고는 모두 오차가 –0.1 % 이었으므로 실험에서 가장 큰 오차요인은 진자의 길이를 잘못 재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