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결과분석
(1) 탄성 충돌 실험4개, 완전 비탄성 충돌 실험4개, 총 8개 실험의 운동량 오차율의 평균을 정리하면 -1.62%~2.30% 범위로 오차율 평균이 계산되었고, 탄성 충돌 실험 4개의 운동량 오차율 평균은0.55%로, 완전 비탄성 충돌의 운동량 오차율 평균은 0.73%로 계산되어 완전 탄성 충돌과 완전 비탄성 충돌 실험 사이의 운동량 보존 정도는 매우 유사하게 실험되었으며, 운동량의 보존이 오차 허용 범위에서 이루어졌다.
<중 략>
[4] 결론
무마찰 에어트랙에 글라이더와 고무줄 범퍼로 탄성충돌을, 찰흙 범퍼로 완전 비탄성 충돌시키면서 포토게이트를 이용해 속도를 측정한다. 선운동량 보존법칙과 반발계수의 정의를 이용하여 이론값 속도를 구하고, 이를 실험값과 비교한다. 이 과정을 통해 탄성 충돌과 완전 비탄성 충돌 모두 선운동량이 보존됨을 이해하고, 충돌 후에 운동에너지의 보존 여부에 따라 충돌의 양상이 탄성 충돌과 비탄성 충돌로 구분된다는 것을 이해하는 것이 실험의 목표였다.
참고자료
· 허금정, "역학적 에너지와 운동량에 대한 대학생들의 개념," 국내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청원군, 2008
· 손상호, 장태훈, and 서윤경, "전자기 유도 법칙을 이용한 단진자의 역학적 에너지 보존 실험," (in Korean), 현장과학교육, vol. 13, no. 1, pp. 1-16, 2019.
· 남형주(2019), 일반물리실험(1),서울:북스힐,107-134pp
· Raymond A. Serway, John W. Jewett(2017).대학물리학(대학물리학교재편찬위원회 옮김).서울:북스힐. 205~210pp.
· https://ko.m.wikipedia.org/wiki/반발_계수
· https://ko.m.wikipedia.org/wiki/탄성_계수
· https://www.scienceall.com/응력stress/
· https://m.terms.naver.com/entry.nhn?docId=3568145&cid=58941&categoryId=58960
· https://m.terms.naver.com/entry.nhn?docId=2117638&cid=47338&categoryId=47338
· http://phys.kongju.ac.kr/abc/02.pdf&ved=2ahUKEwit8u-n3IHiAhXXPXAKHSSSB3MQFjAFegQIBBAB&usg=AOvVaw2txwNWOgMHGkMGFqbaWkA5
· https://ko.m.wikipedia.org/wiki/운동_에너지
· http://optics.hanyang.ac.kr/~choh/degree/general_physics_2012-1/bauer-07.pdf&ved=2ahUKEwit8u-n3IHiAhXXPXAKHSSSB3MQFjAKegQIChAB&usg=AOvVaw0PByG133I2cnkFV5VQ-BE3
· https://m.terms.naver.com/entry.nhn?docId=626361&cid=42361&categoryId=42361
· http://study.zum.com/book/12986
· http://study.zum.com/book/12741
· https://namu.wiki/w/운동량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