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질병의 정의
대상 포진은 vericella 바이러스에 의해서 발생되는 염증성 증상으로 통증을 수반하는 수포성 발진이 후반 신경절로부터 말초신경의 주행을 따라서 주로 편측성으로 나타난다.
Vericella zoster virus(VZV)가 소아기에 수두를 일으킨 뒤 뒤뿌리근신경절 (후근신경절)에서 휴지기 상태로 생존한다. 무증상으로 남아 있다가 VZV에 대한 면역력이 떨어지면 신경을 타고 나와 피부에 발진이 생기면서 심한 통증을 유발하는 질병이다.
B. 원인 및 유발요인
1. 수두바이러스(VZV)의 재활성화에 따라 발병
- 세포성 면역 기능의 저하 : 노화, 과로, 스트레스, 심한 감염증, 당뇨병, 자가 면역 질환, 악성 종양, AIDS면역 기능을 저하시키는 약물(스테로이드, 면역 억제제, 항암제 등)
- VZV에 대한 면역 기능의 저하 : VZV에 노출되지 않게 되어, 부스터 효과(추가 면역 효과)의 부족으로 VZV-IgG 저하(수두는 겨울철에 유행하고 여름철에는 VZV에 노출되지 않게 된다.)를 일으키게 된다.
2. 어린아이들에게 수두를 일으키는 것
- 바이러스가 기관지나 결막을 통해서 인체 내로 침투해 혈액과 망상내피세포계(폐, 간, 비장, 림프절)을 통해 몸 전체로 전파되어 피부, 점막에서 수포를 형성하게 된다.
C. 역학
- 정확한 통계는 없지만, 발병 빈도는 7~8명 중 1명으로 간주하고 있다.
- 일생에 한 번 발병으로 끝나는 경우가 많지만, 0.9% 정도로 재발이 있다. 최근에는 재발 비율이 증가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1. 성별분포
많은 연구에 근거하여 성별은 대상 포진 발생률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Kim외 연구에 따르면. 남자에 비해 여자가 대상 포진의 발생 빈도가 높았다. Gauthier 및 Gialloreti는 또한 남성 (1년에 4.30/1000 및 3.82/1000의 발병률)에 비해 여성의 경우 1년에 6.05/1000 및 4.75/1000 발생률을 보였다.
· Epidemiology, treatment and prevention of herpes zoster: A comprehensive review. 저자: Koshy, Elsam, Mengting, Lu, Kumar, Hanasha, Jianbo, Wu, Indian Journal of Dermatology, Venereology & Leprology, 03786323, 2018.06, 84권, 3호. 데이터베이스: Academic Search Premier.
· 황보현, 정세원, 손현호 , 이숙경, ⌜성인의 대상포진에서 Famciclovir와 Valacyclovir의 치료 효과에 대한 비교 연구⌟, 대한피부과학회, 대한피부과학회지 52권10호, 724-725p, 2014. 04
· 류동진, 정진영, 이수현, 이주희, ⌜인간 면역결핍 바이러스 감염의 진단에 실마리가 된 양측성 이중성 대상포진 1예⌟,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피부과학교실 및 피부생물학 연구소, 대한피부과학회지 2010, 339∼341p
· 김근순, 윤은자, 외 공저, ⌜성인간호학Ⅱ 일곱째판 수정판⌟, 수문사, 1725~1726p,2017.01
· 이영휘, 김성혁, 김정아 외 공저, ⌜성인간호학 VOLUME2⌟, 정담미디어, 1340~1342p, 2011.01
· ⌜성인간호학 상 9째판⌟, 현문사, 348p
· Velerie C. scanlon, Tina Sanders, ⌜인체의 구조와 기능⌟, 메디컬사이언스, 몇쪽, 2017. 08
· 고자경, 김정아, 홍정주 외 공저, ⌜성인간호학 VOLUMEⅡ⌟, 퍼시픽북스, 1635~1636p, 2018. 02
· EBS 명의, ⌜더위에 지친 당신을 공격하다, 대상포진⌟, 2017.08.11.
· 한경림, ⌜한경림 박사의 대상포진 고칠 수 있다.⌟, 중앙생활사, 20-23p, 41-42p, 51-61p, 68p, 175-185p
· Herpes zóster: tratamento, sintomas e transmissão, Equipe eCycle, https://www.ecycle.com.br/5730-herpes-zoster
· 홍혜걸의 의학채널 비온뒤, 홍혜걸, 2017.09.05 http://www.aftertherain.kr/commentary/?work=view&idx=20565&cate=10i0
· 대상포진 예방법…'전염성' '재발은 없다' 등 속설 믿어도 돼?, 아주경제, 신원선, 2014. 12. 04, https://www.ajunews.com/view/20141204094602943
· http://blog.daum.net/_blog/BlogTypeView.do?blogid=0VGfd&articleno=121&categoryId=0®dt=20141129103316, 경막외 신경성형술
· https://cancer.snuh.org/m/reservation/meddept/CIC/cancerBbsView.do?seq_no=96&searchWord= 서울대학교 암병원
· https://ch.caumc.or.kr/medical/clinic_intro.asp?clinic_code=NS4&cat_no=02010300&dept_code=NS&dept_gubn=D 중앙대학교병원, 신경외과 건강칼럼
· http://ansan.kumc.or.kr/dept/intro/deptIntro.do?DP_CODE=ASAN&CLINIC_DP_CODE=AS144&MENU_ID=003 고려대학병원 마취통증의학과, 신경병성통증클리닉
· http://www.snaeun.com/page.php?LinkPage=contents&show=s2341 나은병원척추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