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성간호학 실습 자연분만 케이스 (A+)
- 최초 등록일
- 2020.08.30
- 최종 저작일
- 2019.06
- 1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자연분만 NSVD
1. 문헌고찰(정의, 분만의 5요소, 분만의 전구증상, 분만의 단계)
2. 간호사정(간호력, 검사 lab)
자세한 환자 간호력과 함께 lab 검사 정상치와 환자 결과, 임상적 의의 함께 적혀있음
3. 간호과정 (3개)
각 간호진단에 따른 주관적, 객관적자료 명확하고 간호계획 또한 5개 이상으로 그에 따른 수행 및 중재 적혀 있음 적혀있음
3-1 자궁수축과 관련된 급성통증
3-2 회음부절개와 관련된 감염위험성
3-3 활동저하와 관련된 변비
목차
1. 문헌고찰(정의, 분만의 5요소, 분만의 전구증상, 분만의 단계)
2. 간호사정(간호력, 검사 lab)
3. 간호과정 (3개)
3-1 자궁수축과 관련된 급성통증
3-2 회음부절개와 관련된 감염위험성
3-3 활동저하와 관련된 변비
본문내용
Ⅰ. 문헌고찰
자연분만, NSVD(Normal Spontaneous Vaginal Delivery)
1. 정의
현재 가장 일반적으로 시행되는 분만법
산모의 몸에 특별한 이상이 없고 태아도 건강하면 자연적으로 진통이 올 때까지 기다렸다가 진통이 시작되면 정상적인 분만으로 진행하여, 질을 통해 아기를 낳음
2. 분만의 5요소(5P)
➀ 태아와 그 부속물(passenger)
- 태아 머리(fetal head) : 분만 시 아두는 가장 중요하며 아두가 산도를 무사히 통과할 수 있다면 신체의 나머지 부분은 큰 문제가 없음
- 태세(fetal attitude) : 태아의 임신 후반기 자세이며 머리, 몸통, 사지의 상호관계
- 태위(fetal lie) : 태아의 장축과 모체의 장축과의 상호관계
- 선진부(presenting part) : 골반 입구에 먼저 들어간 태아의 신체부분을 말함
선진 부위에 따라 두위, 둔위. 견갑위라고 함
- 태향(position) : 태아의 선진부와 모체 골반의 전후 좌우면과의 관계를 의미
➁ 산도(passage)
단단한 골반의 뼈부분과 경부, 골반상, 질, 질구 등의 연한 조직으로 구성
➂ 만출력(power)
- 분만 1기 : 불수의적인 자궁수축(involuntary uterine contractions)
- 분만 2기 : 수의적으로 내려미는 힘(voluntary bearing down effort)
→ 분만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힘은 자궁 수축력
➃ 산부의 자세(position)
분만 중 산부의 모든 자세는 해부, 생리적으로 분만에 대한 적응에 영향을 미침
산부의 자세 변화는 자궁수축이 좀 더 강하고 효율적으로 되어 분만시간 단축에 영향을 주고 산부의 피곤함을 감소시킴
➄ 산부의 심리적 반응(psychologic response)
산부의 분만에 대한 이해와 준비 정도는 분만의 전체과정에 영향을 미침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