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교학 ) 전통 유교 의례와 현대사회
- 최초 등록일
- 2020.08.28
- 최종 저작일
- 2020.08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4,300원4,085원
목차
1. 사례四禮의 전래와 변화
2. 전통예법 사례四禮의 현대적 변화
1) 관례冠禮
2) 혼례婚禮
3) 상례喪禮
4) 제례祭禮
3. 변화 되어야 할 사례四禮
본문내용
‘관·혼·상·제’를‘는 관례冠禮, 혼례婚禮, 상례喪禮, 제례祭禮를 줄임말이며, 이를 사례四禮라 부른다.
우리는 일상생활에서 쓰기도 하고 듣기도 하지만, 우리의 아이들은 어떨까? 아마 이 단어들을 학교에서 배웠던 적은 있지만 정확히 기억한다거나 현실에서 쓰는 일은 아직 없을 것이다. 현재는 이러한 사례가四禮 아주 간소화되고 점차 사라져가지 않을까 하지만 아직은 통상적으로 쓰이기 때문에 四禮가 의미하는 바와 현재 삶 속에서 사례四禮가 적용되는지 알아보자.
1. 사례四禮의 전래와 변화
우리나라의 전통예법이라 불리는 사례四禮는 실질적으로 고려 말에 전래한 「주자가례」가 수용된 이후부터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으며, 이후 조선의 건국과 함께 성리학이 국가의 중심 사상이 되자 전통예법으로 사례四禮가 우리나라에 정착하게 되었다.
조선 시대 동안 많은 예법 학자들에 의해 예법은 정리되었고 정착된 전통예법은 보통 사람들에게 널리 퍼지게 되었다. 그러나 국권침탈(1910)과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우리의 전통예법은 혼란을 맞이했다. 이후 해방과 6·25란 역사의 소용돌이에 또 휘말리게 되면서 전통예법은 더욱더 그 모습이 혼란스러워졌다. 그리고 1960년대 이후 급속도의 경제 성장과 서구의 물질문명이 들어오면서 전통예법은 그 모습이 점차 희미해져 갔으며, 편리하게 점점 더 바뀌었다. 여기에 정부의 허례허식 타파라는 정책과 함께 근근이 이어오던 전통예법은 1969년 ‘가정의례에 관한 법률’이 제정됨으로써 큰 변환기를 맞았고, 1999년 ‘가정의례준칙’이라는 모습으로 실시되다가 1999년 8월 9일 자로 완전히 사라지게 되었다.
역사 속에서 이렇게 다양한 모습으로 바뀌어 오던 전통예법은 현재는 어느 통일된 원칙에 따라서가 아니라 각 가정의 전통과 편리함에 따라 사례四禮가 행해지고 있다.
2. 전통예법 사례四禮의 현대적 변화
1) 관례冠禮
전통 예법에서의 관례冠禮는 15세에서 20세의 성인 연령에 도달한 어린아이에게 ‘성인이 되었음’을 알리고 행하는 통과의례라고 할 수 있다.
참고 자료
최준하 ( Jun-ha Choi ). "『주자가례(朱子家禮)』의 수용(受容)과 한국전통예법(韓國傳統禮法의 전변(轉變)및 현대적정립(現代的定立)을 위한 모색" 인문학연구 VOL.55 NO.2 (2016):335-371
이희재. "유교가례의 변용과 창조적 계승" 유교사상문화연구 VOL.31 NO.- (2008):25-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