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참고문헌
1) 정의
2) 발병률 & 호발연령
3) 원인
4) 증상
5) 합병증
6) 진단
7) 치료
8) 간호
Ⅱ. 간호사정
1) 간호력
Ⅲ. 진단적검사
Ⅳ. Vital sign
Ⅴ. 투여약물
Ⅵ. 간호진단
본문내용
1) 정의
급성인두염(Acute pharygitis)이란 편도염(tonsillitis)과 편도염(pharygotonsillitis)을 포함한 인두의 모든 급성 감염성 질환을 의미한다.
2) 발병률 & 호발연령
급성인두염은 1세 이하에서는 드물고, 이후로 차츰 증가하여 4~7세에 절정에 달한다. 유행시기가 아니면 전체의 15%미만을 차지한다.
3) 원인
바이러스와 A군 β-용혈 사슬알균(group A β-hemolytic streptococcus)이 가장 흔한 원인이다.
바이러스로는 adenovirus가 가장 흔하고, 그 외 장 바이러스(coxsackievirus, echovirus), parainfluenza, influenza virus, EBV 등이 있다. 세균으로는 A군 β-용혈 사슬알균 외에도 H.influenzae. C.diphtheriae가 있으며, 마이코플라스마도 인두염을 일으킬 수 있다.
4) 증상
➀ 바이러스 인두염(viral pharyngitis) : 대체로 비염이 선행하면서 발열, 식욕 부진, 권태감이 동반되고 세균성에 비해 비교적 서서히 진행한다. 특징적인 증상인 인두통은 대개 하루 정도 지나서 시작되어 2~3일째에 가장 심하게 된다. 원인 바이러스에 따라 결막염, 구내염과 궤양 구강 내 병변, 피부 발진, 설사 등의 증세가 자주 동반된다. 병의 경과는 하루 이틀 만에 호전되기도 하지만 보통 4~5일 이상 지속되지 않고, 합병증도 드물다.
➁ 사슬알균 인두염(streptococcal pharyngitis) : 2세 이하의 소아에서는 흔하지 않으며, 성인과의 접촉이 많아지면서 빈도는 증가한다. 특히, 유치원이나 학교생활을 시작하면서 감염 횟수가 두드러지게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대체로 발열과 인두통을 동반하고, 인두 발적과 삼출성 편도선 비대가 관찰된다. 2세 이상의 소아에서는 두통과 불쾌감을 호소하면서 40℃에 이르는 고열이 갑자기 나타나고 인두통도 호소한다.
참고자료
· 아동간호학 각론/ 김영혜 외/ 현문사 / 2005년
· 최신 약리학/ 은종영 외/ 현문사/ 2005년
· 간호진단과 계획/ 서울대학교출판부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