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Microbiome
2. Microbiome과 간의 관계(논문 근거 - 4편)
3. Microbiome을 이용한 연구 상황(뉴스 기사 - 2편)
4. 결론
5. 참고문헌
본문내용
1. Microbiome
인체에 서식하는 "미생물(microbe)"과 "생태계(biome)"를 합친 말로 우리 몸에 사는 미생물과 그 유전정보를 일컫는다. 인체 마이크로바이옴의 수는 순수한 인체의 세포 수보다 두 배 이상 많고 유전자 수는 100배 이상 많다. 따라서 미생물을 빼놓고 인간의 유전자를 논할 수 없을 정도이기에 제2의 게놈(Second Genome)이라 부르기도 한다. 마이크로바이옴은 유익균과 유해균이 생성되는 원리와 질병간의 연관성 등을 분석할 수 있어 신약 개발 및 불치병 치료법 연구에 폭넓게 활용될 수 있는 분야다.
그중 장 내에는 2조 개가 넘는 미생물이 존재하며, 이들이 내뿜는 물질이 장뿐 아니라 타 기관에 미치는 영향과 그로 인한 치료제 개발이 떠오르는 이슈가 되고 있다.
<중 략>
4. 결론
간문맥을 통한 장-간의 직접적인 연결과 장-간-뇌 축으로 장내 미생물과 간 질환, 그로 인한 간성 뇌증의 연관성이 매우 크다. 장내 미생물의 군집 붕괴(dysbiosis)는 간 질환의 진행을 일으켜 사망까지 이르게 할 수 있으며, 간 질환은(NAFLD, ALD 모두) dysbiosis를 유발하는 조건을 만들어준다.
참고자료
· Fatty Liver Disease Caused by High-Alcohol-Producing Klebsiella pneumoniae. Clinical and Translational Report. 2019:30:675-688
· Host-Microbiome interactions in Alcoholic liver disease. Gut Liver. 2014 ; 8(3): 237–241.
· Gut microbiome and liver diseases. BMJ. 2016 ; 65 : 2035-2044
· Gut microbiome and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s. Nutrients. 2017 ; 16;9(10).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