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사회복지행정의 각 시기별 주요한 특성을 기술하고, 최근 우리나라 사회복지행정에서 강조되는 내용들을 정리해 봅시다
- 최초 등록일
- 2020.08.18
- 최종 저작일
- 2020.08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목차
I. 사회복지행정 미인식 단계(1950년대 및 이전)
II. 사회복지행정의 명목상 단계(1960년대-1970년대)
III. 사회복지행정의 실질적 중요성 인식단계(1980년대-1990년대)
1. 80년대
2. 90년대
IV. 최근 우리나라 사회복지행정에서 강조되는 내용
1. 민간부분의 활성화
2. 책임성과 행정지식
본문내용
한국 사회복지행정의 역사는 그리 길지 않다. 사회복지의 일천한 역사에 기인한 탓도 있지만, 사회복지행정적인 개입의 필요성이 크지 않았다는 데서 비롯된다. 따라서 한국 사회복지행정의 역사를 체계적으로 논의하기는 대단히 어려운 문제이다. 왜냐하면 무엇보다도 사회복지행정의 역사와 관련된 문서자료들이 매우 부족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자료의 부족은 공공복지기관이나 민간복지기관 모두 해당자료 축적과 보관에 대한 인식부족과 관계자의 책임회피심리에서 비롯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 사회복지행정의 중요성을 실질적으로 인식한 시기는 1980년대 이후부터이다. 1980년대는 사회보험법을 비롯한 공적부조법 및 사회복지서비스법이 완비되었고, 공 ․ 사 사회복지조직 등이 대거 설립됨에 따라 사회복지행정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새롭게 인식하게 된 시기였다. 1950년 이후 사회복지행정의 발전과정을 3단계로 구분하여 각 시기에 있어서 특징을 분석한 최성재 ․ 남기민(2001 : 53-59)의 연구는 다음과 같다.
I. 사회복지행정 미인식 단계(1950년대 및 이전)
1950년 이전 시기에 있어서 사회복지행정을 실천하기 위한 조직으로 조선총독부 내무부 지방국에 사회과(1921)가 설치되어 사회복지행정을 수행하였지만 시혜적인 활동에 국한되었기 때문에 공적인 사회복지조직으로 보기는 어렵다.
해방 이후 미군정 기간 동안의 보건위생부(1946-1948)와 정부수립 이후 사회부(1949-1955), 보건사회부(1955년 2월 이후)에서 사회복지행정이 수행되었는데, 주로 월남피난민과 전재민을 대상으로 한 긴급구호 위주였다. 1950년대 이후 민간기관과 외원기관의 사회복지활동이 있었지만 이 또한 고아, 미망인, 무의탁 노인, 빈민들에 대한 긴급구조 활동이었으므로 사회복지현장에서 사회복지행정의 필요성은 거의 인식되지 못하였다.
사회복지의 다른 방법론의 제반지식과 기술이 사회복지실천의 현장에서의 필요성에 의해 개발되고 발전한 것과 마찬가지로 사회복지행정의 지식과 기술도 실천현장에서의 필요성에 의하여 발전되었다.
참고 자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 최선화, 박광준 외 3명 저, 양서원, 2014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