佛耳草 七二 一名鼠麴草.
72 불이초 일명 서국초이다.
味微酸, 性溫.
불이초는 약간 산미, 온성이다.
大溫肺氣, 止寒嗽, 散痰氣, 解風寒寒熱, 亦止泄瀉.
불이초는 매우 폐기를 온난하게 하며 한성 기침을 중지시키고 담기를 흩어지게 하며 풍한사한열을 풀어주고 또 설사를 중지하게 해준다.
鋪艾捲作烟筒, 用熏久嗽尤效.
깐 쑥을 말려 연기통을 만들어 오래된 기침에 훈증하는데 쓰면 더욱 효과가 있다
藍靛 七三
靛(청대 전; ⾭-총16획; diàn)
73 남전
藍葉氣味苦寒微甘.
쪽잎은 기미가 고미, 한기, 약간 감미이다.
善解百蟲百藥毒, 及治天行瘟疫, 熱毒發狂, 風熱斑疹, 癰瘍腫痛, 除煩渴, 止鼻衄吐血, 殺疳蝕, 金瘡箭毒.
疳蝕:疳疾로 온몸에 창(瘡)이 생기는 병증. 소아가 감(疳)을 앓을 때에 갑자기 풍한(風寒)의 침입을 받아 기혈(氣血)이 응체(凝滯)됨으로써 피부가 소설(疏泄)되지 않아 생긴다.
모든 벌레, 모든 약독을 잘 풀고 유행성 온역, 열독 발광, 풍열반진, 옹양, 붓고 아픔을 풀어주고, 번갈을 제거하고 코피, 토혈을 중지하고 감식을 없애고, 금창상, 전[화살]독을 치료한다.
凡以熱兼毒者, 皆宜搗汁用之.
무릇 열과 독을 겸한데 모두 의당 남전을 찧은 즙을 사용한다.
靛靑
전청
乃藍與石灰所成, 性與藍葉稍異, 其殺蟲止血, 傅諸熱毒熱瘡之功, 似有勝於藍葉者.
쪽과 석회로 만들고 약성은 쪽잎과 조금 다르며 살충하고 지혈하며 여러 열독, 열창에 붙이는 공로가 쪽잎보다 나은듯하다.
靑黛
청대
味微鹹而寒, 性與靛靑大同.
청대는 약간 함미로 차고 약성이 전청과 매우 같다.
解諸熱毒蟲毒, 金瘡熱瘡, 或乾摻, 或以水調敷.
여러 열독, 고의 독, 금창, 열창을 풀어주니, 혹은 건조해 치거나 혹은 물로 섞어서 붙인다.
若治諸熱瘡毒, 或用馬齒莧加靑黛同搗傅之.
만약 여러 열 창독 치료하거나 혹은 마치현에 청대를 가미하는데 써 같이 찧어 붙인다.
若治天行頭痛, 瘟疫熱毒, 及小兒諸熱, 驚癎發熱, 並水硏服之.
만약 유행성 두통, 온역, 열독, 소아 여러 열, 경간, 발열 치료에 물과 같이 갈아 복용한다
참고자료
· 흠정사고전서 자부 오 의가류 46, 대성문화사, 경악전서, 장개빈, 페이지 352-355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