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공공부조제도 도입 및 발전과정
- 최초 등록일
- 2020.08.13
- 최종 저작일
- 2020.08
- 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없음
본문내용
공공부조는 사회보험과 더불어 국민의 최저생활 보장을 목적으로 하며, 특히 생활능력을 상실한 자들에 대해서 국가가 최저생활 보장을 원리로서 자립으로 촉친을 목적으로 하는 이른바 궁핍에 대한 최후의 제도적인 대처, 즉 1차적 사회안전망으로서 공공부조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다른 이름으로 공적 부조, 국가부조(national assistance : 영국), 사회부조(social assistance : 독일, 프랑스)라고도 한다. 사회보험과 공공부조의 차이점을 살펴보면 다음 <표>와 같다.
<표> 공공부조와 사회보험의 차이점 비교
우리나라 공공부조제도의 역사는 1961년 생활보호법과 군사원호보상법, 1962년 재해구호법의 제정과 함께 시작된다. 1977년에는 의료보호법이 제정되면서 의료보호제도가 공공부조의 일부로 자리 잡게 되었고, 1999년 12월에는 기존의 생활보호법을 폐지하고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을 제정하였다.
참고 자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 최선화, 박광준 외 3명 저, 양서원, 2014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