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지단백의 종류
① 암죽미립(chylomicron)의 특징
② 초저밀도 지질단백질(VLDL)의 특징
③ 저밀도 지질단백질(LDL)의 특징
④ 고밀도 지질단백질(HDL)의 특징
2. 이상지질혈증
1) 이상지질혈증(고지단백혈증)의 개념
2) 지단백 농도에 따른 이상지질혈증(고지단백혈증) 분류와 진단
① Type I (hyper chylomicronemia)
② Type IIa (hyper beta-lipoproteinemia)
③ Type IIb (mixed beta-lipoproteinemia or hyper pre beta-lipoproteinemia)
④ Type III (hyper-remnant-lipoproteinemia)
⑤ Type IV (hyper beta-lipoproteinemia)
⑥ Type V (mixed lipemia)
출처
본문내용
지질단백질은 아포지질단백질(apolipoprotein)에 인지질(phospholipid), 콜레스테롤(cholesterol), 콜레스테롤 에스터(cholesteryl ester) 그리고 중성 지방(triacylglycerol, TAG) 등이 다양한 비율로 결합한 거대 분자 복합체로, 소수성인 지질이 중심부에 위치하고 친수성인 단백질의 아미노산 곁사슬이 표면에 있는 공 모양 구조이다. 지질은 원칙적으로 물에 녹지 않기 때문에,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 에스터, 중성 지방, 인지질 등은 혈장 내에서 혈장 지질단백질(plasma lipoprotein) 형태로 여러 조직으로 이동하여 이용되거나 저장된다.
지질과 단백질이 다양한 비율로 결합하므로 밀도가 다른 입자들이 만들어지는데, 밀도에 따라 크게 4가지 종류로 나눌 수 있다.
• 암죽미립(chylomicron)
• 초저밀도 지질단백질(very low-density lipoprotein, VLDL)
• 저밀도 지질단백질(low-density lipoprotein, LDL)
• 고밀도 지질단백질(high-density lipoprotein, HDL)
① 암죽미립(chylomicron)의 특징
• 작은창자 상피 세포의 세포질 세망(endoplasmic reticulum, ER)에서 합성되고, 림프관을 통하여 이동하는 암죽미립은 크기는 가장 크지만, 중성 지방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 밀도는 가장 낮은 지질단백질이다.
• 암죽미립-특이적 아포 B-100인 아포 B-48(APOB), 아포 E(APOE), 아포 C-II(APOC2) 등을 포함하고 있다.
• 식이로 섭취한 지방산을 조직으로 운반하여 그곳에서 연료로 소비되거나 저장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 암죽미립-특이적 아포 C-II는 각 조직의 모세혈관에 있는 지질단백질 지질분해효소(lipoprotein lipase)를 활성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