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본론
1) 장애인에 관한 일반적 사회인식
2) 우리 사회에서 장애인식개선을 위한 노력
3) 장애인에 대한 인식개선을 위한 방안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장애인에 대한 정의를 보면 우리나라에서는 「장애인복지법」 제 2조에서 '장애인이란 신체적•정신적 장애로 오랫동안 일상생활이나 사회생활에서 상당한 제약을 받는 자로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장애의 종류 및 기준에 해당하는 자'로 정의하고 있다. 2017년 말 우리나라 등록장애인은 약 2백50만 명으로 인구의 약 5% 정도이다. 이와 같은 장애인의 비율은 해를 거듭할수록 조금씩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장애 인구는 의료기술 발전을 통한 평균수명 연장에 따른 고령화로 노령 장애인의 증가, 산업화로 인한 산업재해, 교통사고 등의 증가 등의 이유로 앞으로도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처럼 장애인의 인구 비율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사회 전반에서는 장애인을 보는 시선이 불편하고 부정적이다. 전동 휠체어를 타고 지하철을 탄 장애인에게 ‘아프면 집 안에 있지 왜 밖에 나와서 여러 사람을 힘들게 하느냐’라고 직언하였다는 사례는 단순히 한 개인의 비틀어진 인식을 보여주는 것이 아닌 사회 전반이 가지고 있는 폐습 적 관념을 그대로 드러낸 사건이다.
참고자료
· 김도현 저(2007), 당신은 장애를 아는가,메이데이
· 쿠라모토토모아키(2008), 한 장애인이 청소년에게 묻는다 보통이 뭔데?,한울림스페셜
· 이중엽 저(2017), 장애인복지론,공동체
· 유태완•김재웅•문수열•손경화•정신모•서강훈•한우섭공저(2017),장애인복지론,창지사
· 남용현•윤경인•홍자영•정광진 (2011), 장애인식개선교육 개선방안 현장연구,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 김려울(2019), 직장 내 장애인 인식개선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 숙명여자대학교 인적자원개발대학원 인적자원개발학과 인재개발전공 석사학위논문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