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Wilensky의 복지국가 기준에 따른 분류
II. Mishra의 복지국가 유형
III. Jones의 복지자본주의 유형
IV. Therbone의 복지국가 유형
V. Esping-Anderson의 복지국가 체제
VI. 참고문헌
본문내용
I. Wilensky의 복지국가 기준에 따른 분류
Wilensky(1975 : 30-31)는 사회보장비가 국민총생산 중에 차지하는 비율을 복지국가의 기준으로 설정하고 그것이 15% 이상인 국가는 복지선진국, 10-14%는 복지중진국, 5-9%는 복지후진국이라 정의하였다.
II. Mishra의 복지국가 유형
Mishra(1984)는 복지국가의 유형을 복지에 대한 국가책임의 사상과 현실적 제도와의 관련을 통하여 구분하였다.
Mishra는 분화적(differentiated) 복지국가와 통합적(corporate or integrated) 복지국가로 구분하고 전자는 미국과 영국, 후자는 오스트리아, 스웨덴, 서독, 네덜란드를 들고 있다.
영어권 국가들이 분화적 복지국가적 성격을 띠게 된 이유는 조합주의"의 역사적 경험 부족 때문이라고 지적하였다.
이러한 Mishra의 복지국가 유형화는 조합주의와 권위주의 또는 독재정치나 전체주의와의 실질적 차이를 구별하기 어렵다는 점과 여러 개의 통합복지국가들간의 공존관계를 설명해 주지 못한 점이 비판으로서 지적되고 있다.
III. Jones의 복지자본주의 유형
한편, 이러한 사회복지의 유형을 현실적인 국가형태를 고려하여 분류한 복지국가의 유형으로는 영국의 Jones(1985)의 유형을 들 수 있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