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복지론
주제: 우리나라의 노인실태에 대하여 정리(참고, 보건사회연구원의 전국노인실태조사서 를 참고하여)하고, 앞으로의 대응 및 제언을 제시해 본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노인 빈곤의 실태
2. 노인 빈곤이 사회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3. 현재 진행중인 공적 연금 내용
4. 저 소득 노인들을 위한 방안
5. 정년 연장 및 노인연령 상향에 관한 방안
Ⅲ. 결론 및 나의 의견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최근 한국의 인구 감소 시점이 예상보다 빨라질 것이라는 유엔의 조사 발표가 있었다. 당초 2년 전에 전망한 연구에서는 총 인구 감소와 그 원인으로 지목된 출산율 하락 그리고 경제활동 인구의 감소, 노인 인구 증가에 관한 내용이 더욱 당겨져 2060년에는 세계에서 가장 높은 수준이 된다는 것을 알리는 발표였다. 멀지 않은 미래에 현재보다 청년층이 부양해야 하는 노년 인구가 1:1를 훨씬 넘어선다는 이야기였다.
현재의 어려운 상황에서 청년들이 자신들의 미래를 위해 결혼과 출산을 포기하며 일구어낸 상황들이 합쳐져 일본의 선례를 넘어설 정도로 2026년에는 초 고령화 사회로 나간다는 내용이었다. 이는 현재 우리 주변만 보아도 어린 아이들을 보는 경우보다 나이든 노년층을 만나는 일이 더욱 빈번히 일어나는 일이 되었고 이제는 청년층의 어려움과 더불어 급격히 늙어버린 사회 속에서 노년인구가 증가해 서로가 힘든 시간을 보내고 있는 것이 현재 한국의 현실이다. 이와 더불어 노인 실태 조사에서는 노년층의 어려움 특히나 노년층의 경제적인 생활과 더불어 정신적인 어려움까지 토로한 노년층의 이야기가 담겨있음을 알 수 있었다.
참고자료
· 윤홍집 기자, "아직 건강한데 일자리는 없고… 늙으면 어떻게 사나", 파이낸셜뉴스, 2019.08
· http://www.fnnews.com/news/201908091610196979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https://www.kihasa.re.kr/
· 유엔 "韓 인구부양부담 2060년 세계최고…2025년부터 인구감소", 연합뉴스, 2019.06
· https://www.yna.co.kr/view/AKR20190618141500009?input=1195m
· 서한기 기자, 일하는 노인 10명 중 7명꼴 "생계비 마련 위해", 연합뉴스, 2018.05
· https://www.yna.co.kr/view/AKR20180524161500017?input=1195m
· 은유화 기자, 소득 하위 20% 노인에 월 최대 30만 원씩 '2019년 노인기초연금'의 모든 것… 신청 조건은?, AITIMES, 2019.08 http://aitimes.co.kr/news/view/114376
· 박진아 기자, 노인 '공공형 일자리' 늘려도 공급 부족…"지원 강화해 '시장형 일자리' 늘려야" , 뉴스토마토, 2019.08
· http://www.newstomato.com/ReadNews.aspx?no=914367
· 이호선 센터장, 한국 노인 빈곤율 절반에 이르러...노인의 날,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 , 오늘이슈 2부, 2018.10, http://www.kfm.co.kr/?r=home&m=blog&blog=news&front=list&uid=9325210
· 박영주 기자, 노인연령 70세로 높일까…사회적 논의 무르익었다, 문화저널 21, 2019.01
· http://www.mhj21.com/119096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