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직조직은 명령복종관계를 가진 수직적, 계층적 구조를 형성하면서 직접 결정, 집행하는 기관으로써 조직의 목표달성에 직접적으로 공헌하는 기관이다. 이는 최고행정책임자를 정점으로 하는 국장(또는 부장) -> 과장 -> 계장 -> 계원의 순으로 되는 피라미드 형태를 구성한다.
수직조직의 장 ․ 단점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먼저 장점으로는 1/ 권한과 책임의 한계가 명확하여 업무수행이 능률적이다. 2/ 단일기관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결정의 신속성을 기할 수 있다. 3/ 강력한 통솔력을 행사할 수 있다. 4/ 조직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등이다.
그리고 단점으로는 1/ 대규모 복잡한 조직에서는 수직조직의 총괄적인 지휘, 감독으로 인하여 업무량이 과중될 수 있다. 2/ 책임자가 주관적, 독단적 결정과 조치를 할 우려가 있다.
참고자료
·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 조직이론과 설계 : Richard L. Daft 저 / 김광점 역 / 한경사 / 2016
·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 인간관계와 커뮤니케이션의 실제 / 이광자 저 / 신광출판사 / 2019
· 조직문화 통찰 : 김성준 저 / 클라우드 나인 / 2019
· 조직문화가 전략을 살린다 : 안근용, 조원규 외 1명 저 / 플랜비디자인 / 2019
· 인간관계 심리학 / 김종운 저 / 학지사 / 2017
· 인간관계와 커뮤니케이션 / 안효자 저 / 수문사 / 2018
· 조직문화가 경쟁력이다 : 로저 코너스, 톰 스미스 저 / 서상태 역 / 2013
· 인간관계와 커뮤니케이션 / 도복늠 저 / 정담미디어 / 2016
· 학습하는 조직 : 피터 센게 저 / 강혜정 역 / 에이지21 / 2014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