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민정음의 창제 원리를 활용하여 다양한 문물을 조사해서 소개
- 최초 등록일
- 2020.08.06
- 최종 저작일
- 2020.08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주제: 훈민정음의 창제 원리를 활용하여 다양한 문물을 조사해서 소개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훈민정음 창제 원리
2. 훈민정음 창제 원리를 활용한 문물 사례
Ⅲ.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우리나라의 경우, 조선조 세종 이전에는 중국 문자를 빌려서 우리 말을 기록하였다. 중국과는 다른 고유 우리의 말, 그리고 생각은 분명히 있었으나 그를 표현해낼 수 있는 고유문자를 가지고 있지 않았던 것이다. 실질적으로 훈민정음이 창제되어진 이후에야 비로소 우리 조상의 생각은 문자로서 기록될 수 있었다. 한글은 오늘날에 이르러 세계에서 가장 과학적이고 우수한 문자체계를 갖추고 있는 글자라는 극찬을 받게 되었다.
아울러 한글은 한국의 국어가 되어서 우리의 사상 등을 원활하게 담아내고 있다. 훈민정음은 한국 고유의 언어이다. 그러므로 해당 언어를 구사하는 한국 사람의 사유방식(思惟方式)을 필연적으로 담을 수밖에 없다. 만약 한국 사람의 사유를 제대로 내포하거나 드러내지 못하였다면 훈민정음은 창제 뒤 오늘날까지 제대로 발전하지도 못한 채 사어화의 과정을 밟았을 것이다.
한 사회의 문화를 올바르게 담아낼 수 없는 언어는 결국 퇴화하고 사라지게 된다. 이는 언어의 특성이다. 그런 의미에서 볼 때 훈민정음은 기본적으로 한국 사람의 사유방식을 근거로 해서 창제된 것임은 확실하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나는 본 과제를 통해 훈민정음의 창제 원리에 대해 논해 보고자 한다. 아울러 훈민정음의 창제 원리를 활용한 다양한 문물을 알아 볼 것이다. 관련 내용은 본론과 같다.
Ⅱ. 본론
1. 훈민정음 창제 원리
한글은 조선의 제4대 임금인 세종이 재위 25년, 12월에 창제를 발표하였다. 아울러 정인지, 성삼문 등 당시의 집현전 학사들을 시켜서 훈민정음을 창제한 근거 및 원리를 성리학적 원리와 연결시켜 <훈민정음>이라는 책을 만들어 세종 28년, 9월에 반포하였다. 훈민정음이라는 명칭은 창제 이후에도 계속 사용되어 오다가 1913년 이후 '하나의 글' 및 '큰 글' 이라는 의미의 '한글' 이라는 새로운 명칭으로 불리고 있다.
참고 자료
유호선, 훈민정음의 창제와 그 의의, 국가기록원, 2010.
김성범, 훈민정음 창제원리에 관한 역철학적 고찰, 충남대학교, 2003.
김태희 기자, 한글의 과학적 원리, 어디까지 알고 계신가요?, 한글문화연대 새 누리집, 2015.05.27.
국립한글박물관(http://www.hangeul.go.kr) 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