Ⅲ. 문화유물론의 대표 이론가
1. 레이먼드 윌리엄스(Raymond Williams, 1921~1988)
2. 안토니오 그람시(Antonio Gramsci, 1891~1937)
3. 루이 알튀세르(Louis Althuser, 1918~1990)
Ⅳ. 문화유물론의 한계점과 담론
Ⅴ.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문화유물론의 개념
문화유물론(cultural materialism)은 마르크스주의에서 물질적 토대 못지않게 문화적 차원의 지배와 저항을 강조하는 전통을 이른다. 이 용어는 영국의 마르크스주의자 레이먼드 윌리엄스(Raymond Williams)로부터 유래한다. 문화유물론이라는 용어 자체는 1968년 마빈 해리스의 「인류학적 이론의 발생」에서 처음 사용되었다. 그는
참고자료
· 송승철, 맑스주의와 탈구조주의 갈등: 레이먼드 윌리엄즈의 이론을 중심으로」, 오늘의 문예비평, 1994
· 현남숙, 문화유물론」, 도서출판이연, 2009
· 앤드류 밀너 저, 박거용 역, 문화유물론의 이론적 전개, 현대미학사, 2005
· 앨런 스윈지우드 저, 박형신 외 1명 역, 문화사회학 이론을 향하여, 한울아카데미, 2019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