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무신론의 비판 - 마르크스 무신론의 역사적 선행을 중심으로 -
- 최초 등록일
- 2020.08.04
- 최종 저작일
- 2020.06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목차
Ⅰ. 서 론
Ⅱ. 마르크스의 무신론
1. 포이어바흐의 무신론
2. 마르크스와 포이어바흐
3. 인간, 자기실현의 존재
Ⅲ.자본주의 사회와 무신론
1. 자본주의 사회 속 인간의 자기 소외
2. 본래적 인간의 도래 “공산주의 사회”
3. 자기 소외로서의 종교
Ⅳ. 결 론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 론
사회적 무신론의 대표주자인 마르크스는 신에 대한 믿음이 지상의 인간들을 비참하게 내버려 둔다는 점에 그 초점을 맞추고 있다. 마르크스가 무신론으로 기울어지기 시작한 것은 베를린 대학에서 헤겔 주의자 그룹에 합류하면서부터이다. 그러나 마르크스가 무신론을 독자적인 형태로 갖춘 것은 포이어바흐 사상의 영향으로부터다. 1831년 헤겔 사망 이후, 헤겔 사상에 대해 우익과 좌익이 나뉘게 된다. 우익파는 절대 권위와 법적체제에 대한 복종에 의해서만 인간은 본래적 자유와 자기실현에 도달할 수 있다는 절대 군주제를 지지했다. 그러나 좌익인 마르크스는 국가를 위한 절대 군주제를 철저하게 반대했다. 그들은 국가의 개념 그 자체를 반대하며 오로지 인간에 대한 믿음만을 견지했다. 그의 친구인 바우어는 헤겔 철학에서 인간과 자연은 신 자신의 영광을 위해서 신에게 흡수된다. 그래서 인간과 자연은 전혀 무의미하게 되어버린다고 주장한다. 또한 인간은 더 이상 역사 형성의 어떤 가능성도 없다. 신 자신이 역사의 주인이다 라고 말한다. 하지만 마르크스는 바우어의 실천 없는 비판에 등을 돌린다. 마르크스에게 무신론 신념을 더욱 굳혀 준 사람은 모제스 헤스다. 헤스는 공산주의의 옹호자로 사유재산제를 붕괴하기 위한 혁명이 필요하다고 믿는 자다. 그런데 마르크스에게 가장 강력하게 무신론에 대한 영향을 미친 사람이 있다. 바로 포이어바흐의 사상이다.
Ⅱ. 마르크스의 무신론
1. 포이어바흐의 무신론
마르크스의 무신론을 논하기에 앞서, 포이어바흐의 무신론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포이어바흐는 현실을 살아가는 실재적 존재로서 사고 싶었으나
참고 자료
뷜럼 뢰이뻔, 헨리 코렌 저, 류의근 역, 현대 무신론 비판,CLC(기독교문서선교회), 2005
발터 케른 저, 김진태 역, 무신론 마르크스주의 그리스도교, 가톨릭대학교출판부, 2009
김성원 저, 신은 허구의 존재인가? (현대무신론 비판), 대한기독교서회.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