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에서는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전체 인구의 7% 이상을 차지할 때 고령화사회 14%이상이면 고령사회, 20% 이상이면 초고령사회로 분류한다. 우리나라는 2000년에 이미 7.2%로 고령화사회에 진입하였으며, 2017년에 14.0%가 되면서 고령사회가 되었고, 2026년이면 초고령사회로 진입될 전망이다. 우리나라는 노인인구의 증가뿐 아니라 인구고령화 진행속도 또한 세계에서 가장 빠르다. 우리나라가 고령화사회에서 고령사회로 진입하는 데 소요되는 기간은 불과 17년으로 프랑스(115년),미국(71년),독일(40년), 일본(24년)보다도 더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또한 우리나라의 출산율은 지속적으로 하락하여 2010년에는 1.19명에서 2018년에는 0.95명으로 하락하고 있다. 또한 2018년 노년부양비는 19.6명으로 65세 이상 고령자 1명에 대해 생산가능 인구 5.1명이 부양하고 있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