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로카 실어증이 담화생활에 미치는 영향
바람나비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 언어에 따른 문장 산출과 이해를 중심으로목차
1. 초록2. 서론
1) 영어와 한국어의 문법구조
2) 영어와 한국어 사용 브로카 실어증 환자들의 서술어 인출 특성과 그 비교
3) 영어와 한국어 사용 브로카 실어증 환자들의 명사 및 조사 인출 특성과 그 비교
4) 브로카 실어증 환자의 담화생활
3. 결론
본문내용
브로카 실어증은(Broca’s Aphasia)은 일반적으로 뇌졸중으로 인해 좌반구 하측 전두엽 손상이 동반되어 언어 산출에 어려움을 보이는 질환이다. 국내 브로카 실어증 환자의 실태에 대한 정확한 통계자료는 존재하지 않으나 미국의 통계자료에 따르면 미국 전체 국민 중에서 약 4,000명 당 1명이 앓는 것으로 알려져 있을 정도로 이 실어증은 여러 질병 중에서도 흔하지 않은 편에 속한다(Adeen Flinker et al., 2015). 하지만 브로카 실어증은 특정 뇌 부위의 손상으로 인해 언어기능 저하가 야기된다는 점에서 최근 뇌의 작동기제 혹은 언어 산출 및 이해의 원리를 밝히고 싶어하는 뇌 과학분야와 생물〮언어 심리분야에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이러한 관심을 바탕으로 진행된 여러 사례 연구들에 따르면, 환자들은 공통적으로 문장의 이해보다는 산출에 있어서 어려움을 겪는데, 이는 그들이 문장구조의 파악에 어려움을 겪기 때문인 것으로 드러났다. 이 때문에 최근 몇 년 동안 브로카 실어증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들은 그들이 언어 산출뿐만 아니라 언어 이해에 있어서도 국소적인 장애를 가지고 있을 것이라는 점에 착안하여 그들이 문장 처리를 어떻게 하는가에 대한 연구가 다수 진행되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각 나라 별로 사용되는 언어에 따라 각각의 문법적 특성과 담화 관습 등이 다르다는 점을 인식하면서, 연구자들은 사용 언어의 차이에 따라 브로카 실어증 환자들의 언어 산출과 이해 특성이 어떻게 다르고, 같은지를 주요 연구 주제로 삼고 있다. 이에 따라 영어, 독일어, 한국어, 불어 등을 사용하는 브로카 실어증 환자들의 언어권 별 질병 특성에 대한 많은 이해가 이루어졌다.
하지만 연구대상이 되는 모집단의 규모가 작아, 이러한 연구들 대부분이 공통적으로 표본이 부족하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는 탓에 아직까지는 일반화가 어려운 부분들이 존재한다(민오영, 2011).
참고 자료
양명진. (1999). 브로카 실어증 환자의 담화 능력 분석: 일관성의 고찰.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현정문. (2003). 베르니케실어증과 브로카실어증 환자들의 명사와 동사 인출 비교.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황주희. (2002). 브로카 실어증 환자들의 문장 이해에서 보조사 처리.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윤정미. (2002). 브로카 실어증 환자들의 동사이해 결함의 범주특정적 특색.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Paula I. Martin et al. (2014). Language improvements after TMS plus modified CILT: Pilot, open-protocol study with two, chronic nonfluent aphasia cases. published jointly by Veterans Affairs Boston Healthcare System and the Harold Goodglass Boston University Aphasia Research Center, Department of Neurology, Bosto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Berenson-Allen Center for Noninvasive Brain Stimulation, Beth Israel Deaconess Medical Center, Harvard Medical School; Institut Universitari de Neurorehabilitació Guttmann-UAB
민오영 외. (2011). 문장정오판단과제로 살펴본 실어증 유형에 따른 문장이행 특성연구.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Vol. 50, No. 2
김가영. (2005). 실어증 환자의 동사 산출과 논항구조 간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문용. (1999). 한국어의 발상 영어의 발상.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Adeen Flinker et al. (2015). Redefining the role of Broca’s area in speech. published jointly by Helen Wills Neuroscience Institute, University of California; Department of Neurology, Cognitive Neurophysiology and Brain-Machine Interface Laboratory,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Human Research and Engineering Directorate, US Army Research Laboratory, Aberdeen Proving Ground; Center for Aphasia and Related Disorders, VA Northern California Health Care System; Department of Neurology, University of California; Department of Psychology, University of California
Jing Tao et al. (2014). Community-applied research of a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rehabilitation scheme on Broca’s aphasia after stroke: study protocol for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Trials, Vol.15, No. 2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