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통계와 현상관찰을 중심으로 분석한 다문화의 개념과 한국사회 다문화 적응 상황을 제시하고,
우리 사회의 다문화 인지 정도와 수용성을 알아본 뒤
한국사회의 다문화 교육과 한국학교의 다문화 교육을 파악합니다.
이를 바탕으로 현 다문화 부모교육의 필요성과 개선점을 제시하고
영~아동기 다문화가정 자녀가 부모에게 받는 영향과 대안으로서의 부모역할,
청소년기 다문화가정 자녀가 부모에게 받는 영향과 대안으로서의 부모역할을 순서대로 제언합니다.
목차
Ⅰ. 통계와 현상관찰을 중심으로 분석한 다문화의 개념과 한국사회 다문화 적응 상황/우리 사회의 다문화 인지 정도와 수용성
Ⅱ. 한국사회의 다문화 교육/한국학교의 다문화 교육
Ⅲ. 다문화 부모교육의 필요성과 개선점/영~아동기 다문화가정 자녀가 부모에게 받는 영향과 대안으로서의 부모역할/청소년기 다문화가정 자녀가 부모에게 받는 영향과 대안으로서의 부모역할
본문내용
우리나라의 다문화 현상은 1990년대를 시작으로 세계화에 따른 자본과 노동 이동이라는 보편적 특성과 함께 한국의 특수성인 저출산 및 고령화 현상과 맞물려 국제결혼이 증가하면서 시작되었다. 1990년대 중반부터 국제결혼과 이주노동자 유입의 급격한 증가는 우리나라를 다문화사회로 빠르게 변모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2018년도 기준 국내 체류 외국인은 약 230만 명으로 10년 전에 비해 100만 명 이상 증가했다. 성별 통계를 보면 남성이 약 16%, 여성이 약 84%로 여성의 비율이 훨씬 높다. 이는 유학, 방문취업 등의 국내 체류 사유만큼이나 결혼을 목적으로 이주한 외국인의 수가 많음을 암시한다. 결혼이민자들의 한국 거주 인구수는 약 15만 명에 육박하며, 수도권은 물론이고 지방에도 매우 고르게 분포한다.
이에 반해, 다문화 시대를 받아들이는 우리의 다문화 감수성은 어떠한가? 내가 가진 문화와 삶의 방식이 최선이라는 관점에서 벗어나 타문화의 영향력 및 차이를 인식하고 다른 문화에 공감하는 태도는 여전히 발전을 필요로 하는 듯하다. 2015년 실시된 「일반국민 다문화수용성 조사」에서 도출된 문화개방성, 국민정체성, 고정관념 및 차별, 일방적 동화 기대, 거부회피정서, 교류행동의지, 이중적 평가, 세계시민행동 등의 항목들 중 고정관념 및 차별과 거부회피정서는 유독 높게, 교류행동의지는 유독 낮게 나왔다. 이는 외국이주민들과 상호 교류하고자 하는 의지가 낮음을 말하며, 외국이주민이 우리의 문화와 관습을 일방적으로 따를 것을 원하고 있음을 암시한다. 스위스 국제경영개발원의 국가 간 경쟁력 보고서에서도 한국인의 문화적 폐쇄성은 49개국 중 44위의 평가를 받았다. 이러한 사회적 기반은 차별, 편견, 배제의 태도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때문에 다문화수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문화교육과 같은 지속적 노력이 요구된다.
그렇다면 집단의 문화를 동등한 가치로 인식하며 편견을 줄여 다양한 문화를 이해하기 위한 다문화교육은 왜 필요하며 얼마나 바르게 이루어지고 있는가?
참고 자료
경희대학교 강좌 <한국사회의 다문화현상이해> 중 「다문화수용성」, 「국내 다문화 사회 현상」, 「문화다양성 교육, 국제이해교육에서 세계시민교육으로」, 「국제결혼가족의 이해」편
서종남, 「중등학교 다문화교육을 위한 학생과 교사의 인식 조사 연구」
김향은, 「다문화 부모교육의 현황과 과제」
박찬옥, 이은경 「출신 국가별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자녀 교육관 및 부모역할 인식」
윤은영, 김옥녀 「다문화가정 아동의 부모자녀관계, 문화정체성, 우울, 불안, 사회적 차별감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의 부모화 경험이 내재화 문제에 미치는 영향 비교」
서진희,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의 불안, 우울, 자아존중감 비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