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6. 치매 간호와 심리
1. 개요 : 치매(dementia)
· 치매환자의 1/3은 요양원 거주
· 요양원 거주자의 80% 이상 치매
2. 치매의 정의
· 정의 : 기억력·논리력·의사소통·일상생활 능력의 쇠퇴증상을 특징으로 하는 수많은 질병 과정
· 유형 : 알츠하이머병(50~70%), 혈관성 치매(20~30%)), 기타 치매, 복합유형
· 유병률 : 치매는 모든 연령대의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치지만, 알츠하이머병과 혈관성 치매는 대부분 노인에게 영향을 미침
· 특징 ; 점진적 악화, 인지손상, 의존성
· 예후 : 현재 완전한 치매 치료제는 없음, 치매의 증상을 지연시킬 수 있는 약물이 이용 가능하지만 모든 치매유형에 적합한 것은 아님
· 젊은 연령층에서의 치매
- 치매는 노인에게서 가장 흔하지만, 젊은 연령층도 많음
- 젊은 연령층은 그들만의 특별한 이슈와 지지욕구가 있음
→ 예 : 아직 독립하지 못한 어린 자녀 등
- 현재 제공되는 서비스는 젊은 층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되지 않았음
→ 젊은 연령층을 위한 서비스의 부족은 소외감을 느끼게 하고 치매에 대한 대처를 어렵게 할 수 있음
- 젊은 연령층에서의 치매는 노인성 치매보다 기대수명이 약 3.4년 더 긺, 이는 돌봄으로 인한 스트레스와 부담이 증가함을 의미함
3. 치매의 원인모델 : 의학적 모델
· 의학적 모델
- 뇌의 질병과정은 치매환자의 손상 및 행동의 원인이 됨
- 정신행동증상 : 초조, 공격성, 망상, 환각, 우울증, 불안, 무감동 등
- 의학적 관점의 치료 : 약물 관리
→ 단점 : 효과가 제한적, 뇌졸중과 사망률 증가
- 증상의 원인 : 현재의 감정이 정신행동증상을 유발함
→ 단기기억→자신의 현 상황의 이해 및 정보 처리의 어려움→혼란 가중
→ 익숙하지 않은 환경→두려움 유발
→ 상처로 인한 통증→초조 유발
- 대안적 접근법 : 인간중심접근법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