煩者, 擾擾而煩, 躁者, 煩劇而躁, 合言之, 則煩躁皆熱也, 分言之則煩在陽分, 躁在陰分, 煩淺而躁深也。
번이란 요란하고 심번함이며 조란 심번이 심해 조동함을 합쳐서 말함이니 번과 조는 모두 열로 나눠 말하면 번은 양분에 있고 조는 음분에 있고 번은 얕고 조는 깊다.
차사난지집에서 말하길 ‘화가 폐에 들어가면 번이다. 화가 신에 들어가면 조이다’라고 했다.
痘疹煩躁, 大非所宜, 若吐利厥逆, 腹脹喘促, 譫妄狂亂, 昏不知人而煩躁者, 謂之悶亂, 乃不治之證
두진의 번조는 크게 의당하지 않고 만약 토와 하리, 궐역, 복부창만, 숨차고 촉급, 섬망과 광란, 혼미로 사람을 몰라보고 번조하면 민란이라고 이름하니 불치증이다.
一. 痘瘡以安靜爲貴, 若忽然煩躁多哭, 切須詳審其故。
첫째 두창이 안정되면 귀하나 만약 갑자기 번조하고 통곡을 많이하면 절대 반드시 자세히 그 이유를 살펴야 한다.
如別無逆證而忽然若此, 是必瘡有痛而然, 待膿成則痛止而煩亦止矣, 不必治之。
만약 따로 역증이 없는데 갑자기 이와 같다면 반드시 두창 통증 때문에 그럼이니 고름이 생기길 기다리면 통증이 중지하며 심번도 또 중지하니 반드시 치료할 필요가 없다.
其或飮食寒熱偶有所因而致然者, 但當隨證調理之, 則無不卽安者。
혹 음식 한열로 우연히 원인이 있어서 이르면 단지 증상을 따라 조리하면 곧 모두 편안해진다.
一. 痘瘡煩躁兼喘者, 火毒在肺也, 宜人參白虎湯加梔子仁。
둘째 두창 번조에 숨참을 겸하면 화독이 폐에 있음이니 인삼백호탕에 치자인을 가미한다.
一. 煩躁多驚者, 火在心經也, 宜導赤散加梔子, 麥門冬, 或七味安神丸。
셋째 번조로 놀람이 많고 화가 심경에 있으면 도적산에 치자, 맥문동, 혹은 칠미안신환을 가미한다.
참고자료
· 흠정사고전서 자부 오 의가류 46, 대성문화사, 경악전서, 장개빈, 페이지 189-193
· www.imagediet.co.kr
· www.upaper.net/homeosta
· www.steemit.com/@imagediet
· https://www.youtube.com/channel/UCNGSspAjPMNkuJwwTeJ-Buw?view_as=subscriber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