Ⅱ. 본론
1. 조사대상자의 설명
2. 신체계측 조사
3. 24시간 회상법
4. 식품섭취빈도조사법
Ⅲ. 결론, 느낀점
Ⅳ. 출처
본문내용
Ⅰ서론
01. 영양판정
영양판정이란 개인이나 집단의 식사섭취 실태, 영양과 관련된 지표, 측정값을 해석하여 영양 상태를 평가하는 과정이다. 영양 상태를 파악한 후 영양문제를 찾고 위험에 처한 사람을 선별하는 것으로 건강증진에 최종 목적을 둔다.
영양판정의 종류 중 하나인 식사섭취 조사는 대상자의 식사내용을 조사하여 식사 섭취량을 영양소 섭취량으로 환산한 후 기준치와 비교 평가하는 것으로 영양불량이 시작되는 초기 상황에서 판별이 가능하다. 이는 많은 오차를 내포하고 있으므로 결과를 신체계측조사, 생화학적 조사, 임상조사의 결과와 비교하여 해석하면 보다 정확한 영양판정을 할 수 있다.
이번 과제에서의 식사섭취조사는 24시간회상법과 식품섭취빈도 조사법을 통해 진행되었다. 정확한 영양판정을 위해 조사 대상자의 간단한 신체계측 조사를 통해 비만도를 측정하였고 24시간 회상법을 통해 단기간의 영양 상태를, 식품섭취빈도조사법으로 장기간 영양 상태를 파악하여 영양판정을 하였다.
Ⅱ본론
01. 조사대상자의 설명
조사대상자는 26살 남성이며 신장은 170.0cm, 체중은 71.8kg 이다. 활동 정도는 주로 앉아서 보내지만 가벼운 운동을 자주 하고 있어 활동적이다. 이를 토대로 필요열량을 계산하였을 때 2962.52kcal 이고 이상적 열량(신장에 따른 이상체중을 위한 에너지)은 2834.64kcal 이다.
02. 신체계측 조사
비만도를 측정하기 위해 조사 대상자의 간단한 신체계측 조사를 하였다.(캘리퍼를 사용하지 못하여 캘리퍼를 이용한 신체계측은 하지 못함.) 먼저 신장과 체중, 허리둘레, 엉덩이 둘레는 기계와 도구(길이)를 이용하여 쟀고 이를 토대로 조사자가 비만도를 측정하였다. 체질량 지수(BMI)는 24.84로 한국인 체질량지수에 의한 비만판정 기준으로 과체중 범위(23~24.9)안에 있고 표준 체중은 63.58kg으로써 비만도가 112.93%로 과체중 범위 (110~119%)안으로 들어간다.
참고자료
· CAN-Pro
· 네이버 지식백과
· 헬스 조선 : 사망률 낮추는 단백질 황금비율 '식물성2:동물성1'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8/30/2019083000053.html
· 대한비만학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