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가정치 사상연구 - 충(忠)· 효(孝)의 관념형성과 변천-
- 최초 등록일
- 2020.07.07
- 최종 저작일
- 2020.04
- 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소개글
"유가정치 사상연구 - 충(忠)· 효(孝)의 관념형성과 변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충(忠)과 효(孝)의 어원과 해석
1. 충(忠)의 어원과 해석
2. 효(孝)의 어원과 해석
Ⅱ. 충(忠), 효(孝)의 관념의 변천
1. 공자 이전의 ‘충효’ 관념
2. 제자백가의 ‘충효’ 관념
3. 제국 시대의 ‘충효’ 관념
Ⅲ. 결 론
참고 문헌
본문내용
위 그림은 忠자의 변천과정이다. 忠이라는 글자의 변천을 살펴보면 갑골문에서는 충의 흔적을 찾을 수 없다. 또한 가장 오래된 문헌인 시경이나 주역에서도 忠자는 보이지 않는다고 한다. 따라서 기원전 314년에 주조한 것으로 추측되는 중산왕정에 보이는 형태를 忠의 맨 처음 형태로 본다. 이 忠자의 생김새는 그대로 설문해자로 계승되었다. 또한 춘추전국시대의 서적인 좌전이나 논어에는 상당한 관념화가 되어서 忠자가 쓰이는 것으로 보아 고대에서부터 활발하게 쓰인 글자임을 추측할 수 있다. 충은 글자 형태를 보면 윗부분인 中과 아랫부분인 心으로 이루어진 회의자이다. 먼저 中을 살펴보면 이는 예로부터 치우지지 않은 가운데를 표시하는 깃발의 상형자이다. 그리고 心은 마음을 뜻하는 글자이다. 따라서 충자의 의미는 치우치지 않는 마음을 뜻한다. 상형자전에 따르면 忠이란 ‘내적으로 마음이 공정하고 사사로운 정에 치우치지 않는 것’을 뜻하는 글자였다고 한다.
참고 자료
시라카와 시즈카, 한자의 기원, 이다미디어, 2009
박영진.. 義利 문제에 대한 공자와 맹자의 인식 연구. 동양고전연구, 2017
조원일. 순자(荀子)의 교육사상(敎育思想)에 관한 연구. 동서철학연구, 2014
장현근, 관념의 변천사(중국의 정치사상, 한길사. 2016
임헌규. 유가 인 개념의 변환구조.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