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지장애와 관련된 자가간호결핍(Self-Care Deficit)』 간호과정입니다.
직접 문헌 조사하여 간호계획, 간호수행과 이론적 근거까지 하나하나 꼼꼼하고 자세히 정리했어요. 간호목표와 간호평가까지 모두 알차게 잘 되어 있습니다.
일반적인 자가간호결핍 간호과정이 아니라 인지장애가 있는 Dementia 대상자의 특성을 고려한 비판적 사고를 통해 통합적이며 논리적인 내용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좋은 자료로 학업에 시간을 절약하시고 효율성을 올리실 수 있길 진심으로 바라겠습니다.
A+받으세요! :) 감사합니다.
직접 문헌 조사하여 간호계획, 간호수행과 이론적 근거까지 하나하나 꼼꼼하고 자세히 정리했어요. 간호목표와 간호평가까지 모두 알차게 잘 되어 있습니다.
일반적인 자가간호결핍 간호과정이 아니라 인지장애가 있는 Dementia 대상자의 특성을 고려한 비판적 사고를 통해 통합적이며 논리적인 내용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좋은 자료로 학업에 시간을 절약하시고 효율성을 올리실 수 있길 진심으로 바라겠습니다.
A+받으세요! :) 감사합니다.
목차
1. 간호사정
1) 주관적 자료
2) 객관적 자료
2. 간호진단
3. 간호목표
1) 단기목표
2) 장기목표
4. 간호계획
5. 이론적 근거
6. 간호수행
7. 간호평가
1) 단기목표
2) 장기목표
8. 참고자료
본문내용
1. 간호사정
< 주관적 자료 >
(1) “여기가 은행 아닙니까? 돈 찾아야 되는데. ”
(2) “왜 씻을 거고. ”
(3) “안 한다. 안 씻어. ”
< 객관적 자료 >
▶ 대상자 직접관찰 및 의무기록 열람으로 자료 수집함.
(1) Dx: Alzheimer dementia
(2) (6/1) 간이정신상태 (MMS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검사 점수 19점: 확실한 인지기능 저하가 있는 상태.
(3) 장소에 대한 지남력이 없으며 시간, 사람에 대해서는 있다가 없다가 반복되는 양상 확인됨.
(4) 세수, 양치질 등 개인위생 활동 시 순서를 알려주지 않으면 아무것도 하지 않고 가만히 있는 모습 관찰됨.
(5) 돌봄을 제공하려고 하면 간헐적으로 거부하는 모습 보임.
(6) 지시하면 스스로 옷을 벗을 수는 있으나 입는 행위를 하지 못함.
(7) 실금 증상 있어 기저귀 착용 중임.
(8) 양치질, 머리감기, 샤워 등 개인위생 활동 시 순서를 기억하지 못하고 가만히 있으며 타인의 도움 없이는 스스로 수행하지 못함.
(9) 식사 중에 음식을 입에 넣은 채로 식사를 멈추고 멍하게 있는 모습 관찰됨.
(10) 큰 반찬 덩어리는 잘라먹지 못하며 음식을 많이 흘리는 모습 관찰됨.
2. 간호진단
#. 인지장애와 관련된 자가간호결핍(Self-Care Deficit)
*NANDA 정의 ⇒ Impaired ability to perform or complete activities of daily living for oneself, such as feeding, dressing, bathing, toileting.
: 식사, 옷 입기, 씻기, 화장실 사용과 같은 매일의 일상적 활동을 스스로 수행하거나 완료하지 못하는 상태를 말한다.
참고자료
· 정신건강간호학(2017)/ 수문사/ 한금선 외
· 최신기본간호학(2020)/ 수문사/ 송경애 외
· 노인간호학(2017)/ 수문사/ 윤숙희 외
·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수정판(2019)/ 현문사/ Meg Gulanick 저/ 박은영 역
· 사례기반의 학습자 참여 중심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2019)/ 포널스출판사/ 이동숙 외
· 임상영양관리지침서 제3판(2017)/ 대한영양사협회
· 근거중심 질환별 간호과정4(2016)/ 메디캠퍼스/ 이노우에 도모코 외/ 이민자 옮김
· 비판적 사고를 이용한 간호과정의 적용(2016)/ JMK
· Sparks and Taylor's Nursing Diagnosis pocket guide 3rd edition(2017)/ Linda Phelps
· 학술자료: 『Chronic disease self-management support for persons with dementia, in a clinical setting』(2017).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Joseph Elias.
· (Link: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5283068/)
· 삼성서울병원: http://www.samsunghospital.com
·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