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론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분만이란 자궁 내 태아와 태반을 포함한 그 부속물이 만출력에 의해 산도를 통과하여 모체 밖으로 배출되는 현상을 말한다. 분만 및 출산과정은 일반적인 예측이 가능하나 환경과 개인의 영향이 크고 진행방법이나 양상도 다르다. 간호사는 이러한 과정에 대하여 정확한 사정과 대상자의 욕구 예측을 통해 간호를 제공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 분만과 출산 및 산욕에 대한 정확한 지식과 이해가 필요하다.
이번 여성간호 실습에서 실제 정상 자연분만 산모의 분만과정과 산욕을 관찰하고 간호 진단 및 계획을 수립하여 이를 적용함으로서 전문적 지식과 간호기술을 습득하고 대상자의 최적의 안녕 상태를 도모하고자 이 연구를 시행하게 되었다.
Ⅱ. 본론
1. 문헌고찰
(1) 자연분만
1. 정의
만삭에 가까운 산모의 몸에 특별한 이상이 없고 태아도 건강할 때, 자연적으로 진통이 올 때까지 기다렸다가 조화롭고 연속적인 자궁수축으로 자궁경관의 소실과 개대가 이루어지는 과정이며, 진통이 시작되면 정상적인 분만으로 진행하며 질을 통해 자궁으로부터 태아와 태반이 만출 되는 생리적인 과정이다.
2. 분만단계
1) 분만 1기 : 개대기
- 규칙적인 자궁수축 ~ 경관의 완전 개대 (10cm)
- 잠재기, 활동기, 이행기로 나눠짐
2) 분만 2기 : 태아 만출기
- 자궁 경관 완전 개대 ~ 태아 만출
3) 분만 3기 : 태반기
- 태아 만출 후 ~ 태반 및 태아 부속물 만출
- 자궁이 수축되어 작고 단단해지면서 태반 부착 부위가 작아져 태반 후면에서 출혈이 일어나면서 박리됨
- 박리 후 자궁근 중간층의 수축으로 태반부위 자궁혈관이 지혈됨
4) 분만 4기 : 회복기
- 분만 후 1~2시간
- 임신 전 상태로 적응하는 모체의 생리, 심리적 변화가 적극적으로 일어나는 시기
- 출혈이 중지되고 회복되는 기간
- 모아관계와 새로운 가족 구성에 대한 주요한 시기
- 출혈, 요정체, 저혈압 등의 합병증 관찰이 중요
참고자료
·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 편(2012), 수문사, 여성건강간호학 I
·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 편(2012), 수문사, 여성건강간호학 II
· 성미혜 외, 간호과정의 이론과 적용, 수문사, 2013
· 제 2 판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2012년), 현문사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