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실험 목적
2. 실험 원리
3. 실험 기구, 시약 및 시료
4. 실험 방법
5. 결과 및 고찰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실험 목적
항산화능을 실험하는 다양한 방법들 중 DPPH 시약을 이용해 라디칼의 소거능을 측정하는 원리를 이해하고, Spectrometer의 사용법을 안다. 또한, 비타민 C, 콩가루, 고소애의 라디칼 소거능을 비교하여 미래 식품으로 떠오르는 고소애의 항산화 능력을 알아본다.
2. 실험 원리
호흡 과정에서 체내에 들어간 산소는 산화 및 대사 과정을 거치며 1~2%의 활성 산소가 생성된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활성 산소는 정상 세포 내에서 분해되어 제거된다. 그러나, 불규칙한 생활, 스트레스 등의 원인으로 활성산소 물질의 생성과 분해에 불균형이 있게 되는 산화적 스트레스 상태에 있게 되면, DNA나 지질과의 반응으로 손상을 입히며 질병과 노화를 촉진한다. 항산화제는 산화의 연쇄반응을 중단하고, 활성산소를 제거하고, 활성 산소로 인한 재생 복구 등의 역할을 가지는데, 대표적으로 비타민 C가 있다. (김용호, 2011)
참고자료
· 금종화, 김정숙, 김지상, 남진식, 문숙희, 배지현, 오성훈, 이용권, 이희섭 (2012), 『 (New) 식품분석: 이론 및 실험 = Food analysis』, 지구 문화사.
· 안승요, 황인경, 김향숙, 구난숙, 신말식 (2010), 『식품화학』, 교문사.
· 김성자 (2004), "메밀 지상부의 DPPH 라디칼 소거작용과 ACE저해효과 및 활성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의 분리·동정", 순천대학교 대학원 학위 논문.
· 김용호 (2011), “항산화제(Antioxidants)의 임상적 적용”, Surgical Metabolism and Nutrition, Vol.2, No.1, 11-15.
· 조윤희 (2005), “피부, 영양, 그리고 건강식품”, Food Science and Industry, 38(2), 8-15.
· John M. deMan, John W. Finley, W. Jeffrey Hurst, Chang Yong Lee (2018), Principles of Food Chemistry,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