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조선왕조의 통치구조와 조선사회 - 18세기 조선의 탕평정치와 자방통치를 중심으로 -"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조선의 중앙정치 - 탕평정치와 왕권 강화
Ⅲ. 조선의 지방통치 - 수령-이향 지배체제의 성립
Ⅳ. 조선의. 국가재정 - 국가 재분배 경제의 완성
Ⅴ. 조선사회의 민(民)의 성장
Ⅵ. 결 론
참고 문헌
본문내용
18세기 조선은 격렬한 붕당정치로 인해 혼란한 17세기, 세도정치와 민란으로 점철 된 19세기와의 대조 속에서 파악 된다. 즉 모순과 혼란으로 그려진 앞뒤 세기와 달리 18세기는 ‘탕평의 시대’, 조선의 부흥기, 조선 문화의 르네상스로 불리며 조선왕조의 마지막 전성기를 구가한 찬란했던 시대로 그려진다. 그리고 이 시대를 이끌었던 영조와 정조는 ‘탕평군주’, ‘계몽군주’ 등으로 불리며 조선왕조 역사상 손꼽힐 정도로 훌륭한 임금으로 기억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시각으로 18세기를 접근한다면 19세기의 혼란과 모순은 영‧정조로 대표되는 ‘탕평군주’의 부재로 밖에 설명할 수 없게 된다. 군주의 개인적 자질로 역사를 파악하려는 이러한 시도는 영웅주의 사관에 입각한 역사서술로 귀결 될 우려가 크다. 따라서 18세기의 역사를 제대로 조망하기 위해서는 중앙정치(군주중심, 왕권‧신권의 대립 등)를 중심으로 하는 서술방식을 지양하고, 조선사회 및 통치구조, 민중의식의 성장 등 보다 넓은 시각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18세기에 대한 일반적 이해는 이태진에서 찾을 수 있다. 이태진은 18세기 ‘탕평군주’들이 유교적 민본주의를 강화한 ‘민국’ 이념을 바탕으로 왕권강화 및 소민보호 정책들을 추진해 나갔다고 주장한다. 그는 ‘탕평군주’들을 양반사대부들과 대립되는 정치세력으로 파악하고 양반사대부들의 수탈로부터 백성을 지키는 개혁적 존재로 부상시킨다. 또한 ‘탕평군주’들이 주장한 ‘민국’이념을 근대적 공화주의의 시원적 개념으로 파악하고 이를 이후 대한제국과 연결시키려고 한다. 이와 같은 논의를 따라가면 ‘탕평군주’는 백성의 보호자를 뛰어넘어 근대사상의 아버지와 같은 존재로 자리매김 된다. 이에 반해 오수창은 18세기의 ‘탕평정치’를 17세기의 붕당정치, 19세기 세도정치와의 연속성에서 파악하고자 한다. 그는 18세기 ‘탕평정치’가 적지 않은 성과를 거뒀음에도 불구하고 조선왕조의 전통적 통치시스템을 붕괴시킴으로써 왕조가 내파(內波)되는 계기를 제공했다고 본다.
참고 자료
이경구, 「총론 : 새롭게 보는 정조와 19세기」, 『역사비평』 115, 2016, 106쪽
이태진, 「조선시대 ‘민본’의식의 변천과 18세기 ‘민국’이념의 대두」, 『조선후기 탕평정치의 재조명上』, 태학사, 2011
오수창, 「18세기 조선 정치사상과 그 전후 맥락」, 『정조와 18세기』, 푸른역사, 2013
이영훈, 「19세기 조선왕조 경제체제의 위기」, 『조선시대학보』43, 2007
최주희, 「18세기 국가재정의 공공성 제고」, 『조선시대학보』76, 2016
박이택, 「17,18세기 환곡에 대한 제도론적 접근: 재량적 규제체계의 역할을 중심으로」, 『조선후기 재정과 시장』,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0
이헌창, 「조선왕조의 경제통합체제와 그 변화에 관한 연구」, 『조선후기 재정과 시장』,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0, 462-464쪽
김재호, 「조선왕조 장기지속의 경제적 기원」, 『경제학연구』59-4, 2011, 85쪽
송양섭, 『18세기 조선의 공공성과 민본이념』, 태학사, 2015, 39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