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여주의와 제도주의에서의 문제해결 실천기술을 비교하고, 각 관점에서의 사례분석 레포트
- 최초 등록일
- 2020.06.25
- 최종 저작일
- 2020.04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5,000원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사회복지실천기술론 과제입니다.
잔여주의와 제도주의의 차이 서술,
잔여주의와 제도주의의 사회복지실천기술,
'미혼모 신생아 유기'라는 사례를 들어서 각 관점에서의 문제해결 실천 기술을 기술,
또한 두가지 사회복지실천에 대한 본인의 의견도 서술했습니다.
목차 참고 해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목차
1) 서론1
(1) 잔여주의1
(2) 제도주의1
(3) 잔여주의와 제도주의의 차이1
2) 본론1
(1) 잔여주의의 사회복지실천기술2
(2) 제도주의의 사회복지실천기술2
(3) 잔여주의와 제도주의간의 사회복지실천기술 차이2
3) 문제해결의 실천기술2
(1) 사례 ‘미혼모의 신생아 유기’2
(2) 잔여주의 관점에서의 사례 분석3
(3) 제도주의 관점에서의 사례 분석3
(4) 잔여주의 관점에서의 사례 문제해결 실천기술3
(5) 제도주의 관점에서의 사례 문제해결 실천기술3
4) 결론4
(1) 두 가지 사회복지실천에 대한 본인의 의견4
5) 참고문헌6
본문내용
(1) 잔여주의
잔여주의의 개념은 가족이나 시장의 기능이 제대로 발휘되지 못할 때 국가가 일시적으로 개입하여 가족과 시장을 대신하여 도움을 주는 것이다. 이는 긴급사태가 발생한 경우에 활성화되고, 가족과 시장기능이 회복되는 경우에는 축소된다.
<중 략>
(3) 잔여주의와 제도주의의 차이
잔여적 사회복지의 특징으로 첫째, 가족 및 시장의 기능이 실패 시에 정부가 개입한다는 점이다. 정부의 역할은 최소화하는 대신, 가족이나 시장이 사회복지 욕구해결에 자연적이고 정상적인 주된 기능을 하고 단지 이러한 기능이 실패했을 때 정부가 개입한다.
<중 략>
(1) 사례 ‘미혼모 신생아 유기’
통계청이 집계한 통계에 따르면 2016년 우리나라 전체 미혼모 2만3천여명이고, 미혼부는 9천여명으로 집계됐다. 이 중 10∼20대 미혼모는 5천356명으로 전체 미혼모의 약 22%에 달했다.
통계청 공식 통계에 미혼모 관련 내용이 포함된 것은 2015년 인구 총 조사부터다. 자신의 신분을 밝히길 꺼리는 미혼모의 특성상 그 수는 더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경찰 통계를 보면 영아유기 사건은 2011년 127건에서 2013년 225건까지 급증하다가 2014년 76건, 2015년 42건까지 하락했다가 2016년 다시 109건으로 다시 늘고 있다. 같은 기간 베이비박스 유기현황은 2011년 25건에서 2013년 224건으로 급증, 해마다 200건 내외를 기록하고 있다.
참고 자료
박철홍(2018), “미혼모 신생아 유기 막는다…'비밀출산' 특별법 2월 발의”. 연합뉴스
김상은(2018), “자신이 낳은 아기를 버리는 이유는 ?”. 우먼타임스
정덕진(2019), “양육미혼모의 위기지원 프로그램 참여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9(4), pp.241-255
장연제(2019), “생부 도움 못받아... 신생아 골목길에 유기해 숨지게 한 미혼모 집행유예”. 동아닷컴
이용우(2017), “한국사회 미혼모 지원정책의 패러다임 변화”, 한국사회정책학회 24(1), pp97-115
김지혜(2016), “양육미혼모의 자립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 18(2), pp149-180
유범상(2015), “프레이리의 시민교육과 사회복지실천: 지역주민조직화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통합인문학연구소, pp307-340
유범상(2019),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출판문화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