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남북국시대와 발해사 연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발해에 관한 각국의 입장
1. 북한학계의 입장
2. 남한학계의 입장
3. 중국학계의 입장
4. 러시아학계의 입장
5. 각계 해석의 정리
Ⅲ. 남북국 시대론
Ⅳ. 정혜공주와 정효공주 무덤의 묘지
Ⅴ. 결 론
참고 문헌
본문내용
Ⅰ. 서 론
발해사를 다룸에 있어서 현재 영토가 직접적으로 발해의 영역에 포함되는 중국, 러시아, 북한과 함께 발해와 밀접한 관계를 가진 남한, 일본까지 포함한 국가들의 역사관은 모두 다르다. 크게 구분하면 발해가 말갈계 국가임을 주장하는 중국, 러시아 측 입장과 발해가 고구려 계 국가라고 말하는 남, 북한 입장으로 나누어지지만 이 사이에서도 의견의 차이가 있다. 이러한 의견의 차이는 기본적으로 발해사 연구가 ‘발해’라는 나라 자체에 주목한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각국의 연구자들은 자신이 소속된 나라의 정치적인 입장, 그리고 민족주의가 가미된 입장에서 발해를 자신의 국가 역사영역으로 끌어들이려고만 하는 데에 원인이 있다. 이에, 발해의 국가형성에 관한 각국 학계의 입장을 비교분석함으로써 발해 연사연구의 쟁점과 문제점에 대해 모색해보고자 한다. 그리고 다음 장에서는 조선 후기 실학자 유득공이 처음 주장한 남북국시대론에 관하여 다룰 것이다. 우선 현재 발해사 연구에 있어서 남북국시대론은 발해사를 자국의 역사 속에 편입시키려는 민족주의 위주의 연구로 인해 제대로 연구되지 못하는 상황이다. 본고에서는 남북국시대론에 대한 남한과 북한의 주장을 알아보고 그 차이점에 대하여 서술할 것이다. 마지막으로는 정혜공주와 정효공주의 묘에서 발견된 비문에 대해서 살펴볼 것이다. 공주의 무덤에서는 각각 묘지가 출토되었는데, 이 금석문이 가지는 의의는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구당서나 신당서, 그리고 일본과의 외교문서와 같이 발해에 관련된 사료들은 대부분 타 민족의 주관이 개입되어 있는데 반해 위 금석문은 발해 인이 직접적으로 남긴 유물이기 때문이다. 이를 통하여 당대 발해 정치상황의 일면과 발해의 왕호에서 드러나는 유교적, 불교적 면모를 확인할 수 있다.
Ⅱ. 발해에 관한 각국의 입장
1. 북한학계의 입장
발해는 고구려를 계승한 국가이며 지배층인 고구려 유민들과 피지배층을 구성한 말갈인 모두 고구려인으로 취급하고 있다. 발해를 건국한 대조영은 고구려 왕가에 속하는 귀족이자 고구려의 장군 출신으로 설명하고 있다.
참고 자료
임상선 外,「중국의 발해사 연구 동향 분석」『고구려연구재단』 02(고구려연구재단 기획연구), 2004
이효형 外,「동아시아의 발해사 쟁점 비교 연구」『동북아역사재단』 29(동북아연사재단 기획연구), 2009
정병준 外, 「중국국의 발해 대외관계사 연구」, 동북아역사재단, 2011
송기호 外, 「새로운 한국사 길잡이 上」 . 『한국사연구회』, 지식산업사, 2008
노태돈, 「한국고대사의 이론과 쟁점」, 집문당, 2009
박시형 저, 송기호 해제 「발해사」, 이론과실천, 1989
송기호, 「민족주의사관과 발해사」, 역사비평 200년 봄호, p117~125, 2002
송기호, 「발해사, 남북한·중·일·러의 자국중심 해석」, 역사비평 1992년 가을호 p333~343, 1992
김종복, 「특집, 동북아 역사분쟁, 어떻게 연구할 것인가?」, 사림(성대사림), 2006, p23
김종복, 外, 「정혜・〮〮〮정효공주 묘지 ,발해사를 이야기하다」『고대로부터의 통신』, 한국사연국회 고대사 분과, 푸른역사, 2004
조경철, 「동아시아 불교식 왕호비교 : 4~8세기를 중심으로」, 『한국고대사 연구』, 한국고대사학회, 2006